‘야권 단일화’로 정권교체 불붙을까…이재명 ‘文정부 차별화’ 다시 강화

입력 2022-01-09 09:51 수정 2022-01-11 10:11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7일 오후 '매타버스 시즌2, 걸어서 민심속으로' 일환으로 지하철을 타고 숙대입구역에서 총신대 역까지 이동하며 시민들과 셀카를 찍고 있다. 연합뉴스

대선 지지율 선두를 달리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암초를 만났다. 야권 후보 단일화 움직임이 그것이다.

9일로, 대선을 정확히 두 달 앞둔 시점에서 가장 큰 변화는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의 급부상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4~6일 전국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대선 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은 36%를 기록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지율은 26%였다(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안철수 후보는 15%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 수치는 이번 대선 국면에서 안 후보가 얻은 지지율 최고치다. 상승세가 매서운 것이다.

이 후보 측의 가장 큰 고민은 단순한 야권 후보 단일화가 아니다. 단일화 과정을 통해 정권교체 여론이 다시 불붙을까 하는 것이 최대 고민거리다.

이 후보 측은 야권 단일화 움직임에 맞설 대응 전략을 택했다. 이 후보 측은 보수 진영의 정권교체 목소리를 잠재우기 위해 ‘문재인정부와의 차별화’를 다시 강조할 방침이다.

이 후보 측은 단일화에 나선 윤석열·안철수 후보를 공격하는 것은 초조함의 발로로 비쳐질 수 있다고 우려해 당분간은 단일화 움직임에 대해 언급을 자제하는 무시전략을 구사할 방침이다.

민주당 선대위 핵심 관계자는 8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아직까지 현 정권을 바꿔야 한다는 정권교체에 대한 인식이 유권자들 사이에서 매우 강한 편”이라며 “윤 후보든 안 후보든 상대로 누가 나오든 간에 달라지지 않는 사실”이라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국민의힘 윤석열 (오른쪽)대선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후보가 5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열린 2022 중소기업인 신년인사회에 참석하고 있다. 최종학 선임기자

야권의 단일화 논의가 어떤 식으로 진행되든 간에 그 바탕에는 정권교체 이슈가 깔려 있을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이 후보 측은 야권 후보들에 대한 개별적 대응보다는 정권교체 이슈에 대한 대응이 향후 선거전략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 한 중진의원은 “야권의 두 후보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건 유권자들이 보기에 이 후보가 초조해 하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며 “오히려 이재명정부는 문재인정부, 그리고 민주당과 어떻게 다를 것인지 끊임없이 보여주는 전략으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이 후보는 최근 ‘반성과 쇄신’을 앞세워 연일 차별화 기조를 강화하고 있다.

이 후보는 지난 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행정학회·한국정책학회·중앙일보 공동주최 토론회에서 “민주당이 왜 미움받을까 생각해 봤다”며 “자신들(민주당)의 철학과 가치를 국민의 의사를 묵살하는 데까지 가는 것 같다는 느낌 때문이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부동산 문제를 중심으로 한 정책적 차별화도 뚜렷해지고 있다.

이 후보는 “시장에서는 부동산 공급이 부족하다는 사인을 줬다. 그런데 정부의 전문관료는 ‘공급량이 늘었는데 왜 적다고 하지’ 하면서 의심하고 부정하고 그와 다른 방식의 정책을 내면서 충돌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기를 재차 지적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0월 26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초청 차담에서 이재명 후보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선대위는 남은 대선기간 동안 정책공약을 통한 차별화를 보여준다는 계획이다. 이재명정부 출범은 정권재창출이 아닌 정권교체에 맞먹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란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선대위 관계자는 “‘문재인정부와 민주당에 모든 권한을 몰아 줬는데 왜 내 삶은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냐’는 불만이 정권교체론의 핵심”이라며 “거대한 ‘한 방’은 아니더라도 삶에 보탬이 되는 효능감 높은 정책들을 선보이는 동시에 그것을 실제로 실현해 낼 수 있는 유능한 모습을 꾸준히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이 후보가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탈모 건강보험 적용’이 대표적인 사례다.

민주당 한 의원은 “그런 정책 하나를 내 놓는다고 해서 단숨이 표로 연결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이런 정책들을 어떤 식으로 구현할지 구체적으로 보여주면서 이 후보에 대한 신뢰감을 높여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