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강릉의 한 방파제에서 3m짜리 산갈치가 낚시로 잡혔다. 깊은 바다에 사는 심해어가 연안 방파제까지 출현하는 현상은 ‘지진 전조증상’ 등으로 해석돼 우려를 낳기도 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해석이라는 입장이다.
지난 8일 낚시꾼 윤모(30)씨는 강릉시 옥계면 금진항 방파제에서 낚싯대를 드리웠다 3m 크기의 산갈치 한 마리를 잡았다.
그는 “낚싯대를 드리우고 한참 후에 다시 끌어올리니 수초 더미 같은 게 달려 있어 자세히 보니 살아 있는 산갈치였다”며 “너무 무거워 낚싯줄을 끌어올릴 수 없을 정도였다”고 연합뉴스에 전했다.
잡힌 산갈치는 3시간가량 살아 있다 죽었다.
산갈치는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태평양과 인도양 등에서 수심 200~1000m에 서식하는 심해어류다. 갈치와 비슷하며 옆으로 납작하고 몸길이는 최고 17m일 정도로 길다.
일각에서는 산갈치나 투라치와 같은 심해어가 나타나는 것이 지진 전조증상이라는 우려도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지진 전조증상과 이들의 출현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다고 설명한다.
심해어지만 먹이인 크릴을 찾아 해수면 근처까지 오면서 연안에 모습을 드러내는 사례도 드물지만 있다는 것이다. 파도에 밀려 나와 해안에서 발견되는 일도 간혹 있다. 실제 2019년 고성과 강릉 등에서 산갈치와 투라치가 잇따라 발견되기도 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