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지난 5일 극초음속미사일을 시험 발사해 700㎞ 떨어진 표적을 명중시켰다고 주장했다.
조선중앙통신은 6일 “미사일은 발사 후 분리돼 극초음속 활공비행 전투부의 비행 구간에서 초기발사방위각으로부터 목표방위각으로 120㎞를 측면기동해 700㎞에 설정된 표적을 오차 없이 명중했다”고 보도했다. 미사일이 좌우로 변칙 기동하면서 궤도를 바꿨다는 것인데 이같은 변칙 기동은 탐지 및 요격을 어렵게 만든다.
북한이 지난해 9월 첫 시험 발사한 극초음속미사일 ‘화성-8형’과 비교하면 사거리가 대폭 늘고 속도도 빨라졌다. 화성-8형 발사 당시 사거리는 약 200㎞, 속도는 마하 3 정도로 극초음속미사일 기준 속도(마하 5)에 못 미쳤던 것으로 평가됐다. 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의 최고속도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우리 군 당국은 마하 5 이상으로 추정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의 주장대로라면 극초음속미사일 개발이 3개월 만에 완성 직전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 전력화를 위한 추가 시험 발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력화까지 이뤄낸다면 이는 한·미 미사일 방어시스템을 무력화하는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
군 당국은 이번 미사일이 동해상으로 500㎞ 이상 날아간 것으로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700㎞라는 북한 발표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김준락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다양한 한·미 정보자산으로 정상 탐지됐고 대응 가능하며, 우리 군의 대응 능력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변칙 기동으로 인해 탐지가 어려웠을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 3월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군 당국은 사거리를 450㎞로 파악했다가 이후 북한의 주장대로 600㎞로 정정한 바 있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미사일이 마하 5의 속도로 상하·좌우 회피 기동까지 했다면 제대로 탐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1차부터 2차 발사까지 3개월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를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