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보고 결정합시다…서울시 ‘체류형 귀농’ 정착률 70%

입력 2022-01-06 16:50

서울시가 지원하는 ‘체류형 귀농지원사업’ 수료생의 3분의 2 이상이 귀농·귀촌해 정착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강원도 홍천, 충북 제천 등 전국 9곳에서 최대 10개월간 살아보며 귀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체류형 귀농지원사업’ 수료생을 조사한 결과 2017~2020년 전체 157세대 중 78세대(49.7%)가 정착했고 44세대(28.0%)가 정착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귀농지원사업은 2017년 전국 5곳에 28세대를 선발한 이후 2018년 32세대, 2019년 41세대, 2020년 56세대로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모집 지역도 홍천, 제천, 전북 고창·무주, 전남 강진·구례, 경북 영주·영천, 경남 함양 9곳으로 늘어났다.

서울에서 문화예술 기획자로 일하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제천에서 귀농 교육을 받은 김지은(43·여)씨는 “귀농교육 외에도 관심 작물 등을 제천시 농업기술센터에 문의하면 멘토를 연결해 주는 점이 좋았다”고 말했다. 30년간 대기업에 다니다 2019년 은퇴한 뒤 영주 소백산귀농드림타운에 입주한 황준호(56)씨도 “서울에 있으면서 귀농을 준비했다면 어려웠을텐데 체류하면서 교육을 받아 현지 적응에 도움이 많이 됐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사업에 참여한 예비 귀농인에게 세대별 거주 및 교육비 등 체류비용의 60%와 상해보험료를 지원한다. 이들은 거주 공간을 제공받고 귀농교육장, 세대별 실습 텃밭, 공동실습 시설하우스 등을 활용해 직접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서울시는 일손이 필요한 농가와 교육생을 연결해 기술을 습득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는 오는 27일까지 60세대를 모집한다. 1차 서류심사, 2차 해당 지역 방문 면접을 거쳐 실수요자를 선발할 계획이다. 정부에서 시행하는 귀농교육 이수자와 연령이 적은 세대에는 가점이 주어진다.

박대우 서울시 경제일자리기획관은 “세대별 숙소와 개인 텃밭, 교육장, 편의시설 등을 두루 갖춘 만큼 이 프로그램을 통해 안정적인 농촌 정착의 꿈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