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30주년을 맞이했다.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5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인근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1525차 수요시위를 열었다.
이날 현장 시위에는 300명에 가까운 인원이 참여했다. 시위 참가자들은 ‘일본정부는 공식 사죄하라’, ‘우리가 있는 한 일본의 만행은 지워지지 않는다’ 등의 피켓을 들었다.
피해 생존자 할머니들은 영상을 통해 수요시위 30주년의 소감을 전했다.
이옥선 할머니는 “수요시위 30년이 금방 갔다”며 “일본에서는 강제로 끌고 간 적 없다고 하지만 솔직하게 말하라는 것. 그게 반성”이라고 말했다.
이용수 할머니도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추우나 더우나 그 땅바닥에 아랑곳없이 나와 단상 위에서 얘기하는 분을 보면 너무나 감사하다”며 “유엔 고문방지협약을 통해 위안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기막힌 세월, 경이로운 여정, 믿기지 않는 시간이다”며 “30년 세월 동안 일본대사관 앞 거리는 만남과 소통의 장, 이해와 공감의 장, 기억과 교육의 장, 상호돌봄과 상호권한 부여의 장이 됐다”고 말했다.
이 이사장은 이어 “겹겹의 시간과 공간을 의연하게 지켜낸 피해생존자들, 삶을 헌신한 선배 활동가들, 연대해준 세계시민들에게 감사드린다”며 “일본 정부는 진정한 사죄와 반성은커녕 역사를 지우고 피해자들을 모욕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가 해결되는 날까지 우리는 변함없이 평화로에서 외칠 것”이라고 말했다.
수요시위는 1992년 1월 8일 미야자와 기이치 당시 일본 총리의 방한을 계기로 시작해 매주 수요일마다 개최됐다. 시위 참가자들은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 진상 규명과 사죄, 법적 배상 등을 요구해 왔다.
최근 보수성향 단체들의 집회 장소 선점으로 수요시위는 지난해 11월 이후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열리지 못하고 있다. 자유연대 등 보수단체들이 이날도 평화의 소녀상 앞에 집회 신고를 먼저 내고 자리를 선점하면서 수요시위는 소녀상 앞이 아닌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진행됐다.
김미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