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융위원회와 손해보험업계가 올해 실손의료보험의 보험료를 평균 16% 인상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자동차보험료는 얼마나 인상될지에 금융소비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자동차보험 부문이 코로나19 여파로 4년 만에 흑자전환을 한 만큼 보험료 인하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크지만, 손보업계는 누적된 적자를 이유로 보험료 인하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와 손보업계는 올 1분기 중 회의를 열고 자동차보험료 인상 여부 및 인상률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손보업계는 3월 초쯤 소비자들에게 인상 여부와 인상률 등 구체적인 내용을 안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가장 큰 관심은 자동차보험료의 인하 여부다. 그간 손보사들은 보험업계의 만성적인 적자를 이유로 들어 보험료 인상을 고집해왔다. 앞서 손보업계는 이 같은 이유를 들어 실손보험의 올해 보험료를 지난해 대비 평균 16% 인상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며 자동차보험 부문의 수지가 대폭 개선됐다. 통상 자동차보험의 적정 손해율은 80% 안팎으로 알려져 있는데,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한 주요 4대 손보사(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의 지난해 11월 말 기준 연간 누적 손해율은 78.9~80.5%에 불과했다. 12월 들어 위드코로나가 중단되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다시 강화됐음을 감안하면 이들 손보사는 2017년 이후 4년 만에 흑자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자동차보험 부문이 흑자 전환에 성공했을 경우 보험료를 인상해야 한다는 손보업계의 주장은 설득력이 약화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반면 손보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흑자가 예상되는 건 사실이지만 누적된 적자가 막대하기에 단발성 수익으로 보험료를 결정하긴 어렵다”며 “2018~2020년 3년간 적자만 3조원에 가깝다”고 호소했다. 보험연구원이 지난달 27일 발간한 ‘자동차보험 국제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손보사들은 1992년 이후 2번(1997~1998년)을 제외하고는 30년 가까이 영업이익에서 대규모 적자를 기록해왔다.
다만 올해 갱신 대상인 실손보험 가입자의 체감 인상률이 30~50%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되는 만큼 보험료 인상에 대한 소비자들의 저항은 극심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자동차보험의 경우 적자의 주 원인이 경미한 사고로도 한방치료 등 과도한 처치를 받는 ‘나이롱 환자’들인데, 정작 이에 대한 책임은 선량한 가입자들이 진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여기에 더해 보험료 인상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쳐온 점이 적자 여부라는 게 손보사들의 주된 논리였던 만큼 이를 어떻게 소비자들에게 설득시킬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