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임업경영 시대’ 전환을 목표로 탄소중립 및 산림복지서비스 확대, 산림생태 축 복원을 추진한다.
최병암 산림청장은 5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2년 업무보고를 발표했다.
산림청은 먼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해 신규조림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유휴토지에 새로운 숲을 조성해 탄소흡수원을 확대하고, 생태계에 끼칠 영향 등을 고려해 미래수종을 발굴한다.
미세먼지 저감 숲가꾸기, 산불예방 숲가꾸기 등을 통해 산림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공익기능을 최적화한다.
또 경제림육성단지를 중심으로 955㎞에 달하는 임도를 조성하는 한편 건축물·생활시설에 국산목재를 활용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국민들의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도시숲·정원 등 생활권 중심의 산림복지 기반도 확충한다. 여기에 산림휴양·치유 인프라를 구축하고 산림치유 수혜대상도 확대한다.
특히 산림복지시설 예약·결제 통합시스템인 ‘산림복지통합플랫폼’을 운영해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하고, 바우처 제공 대상자를 확대해 산림복지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임업인의 소득구조 개선과 자긍심 증진을 위한 제도도 마련된다. 오는 10월 발효되는 ‘임업·산림 공익직접지불제법’과 관련한 의견수렴 및 홍보·교육을 실시한다.
임업인이 임업경영산림에 산림휴양·체험·숙박 등을 추가로 제공해 소득을 늘릴 수 있도록 ‘숲경영 체험림’ 제도도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건강하고 안전한 산림생태계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생물다양성 강화가 꼽혔다. 산림훼손 방지를 위한 보호·단속도 강화될 예정이다.
멸종위기 고산침엽수종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 및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확대 등 산림생물자원 보전·관리 방안도 포함됐다.
또 지리정보체계·원격탐사(GIS·RS)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 감시·단속을 상시화해 인위적인 산림훼손을 막는다.
산불은 위험예보시스템의 고도화 및 특수진화대, 드론, 산불진화헬기 등을 전략적으로 운영해 초기 진화부터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복안이다.
이밖에 ‘제15차 세계산림총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한편 중앙아시아·아프리카·중남미 등으로 산림협력 국가를 다변화하기로 했다. 한반도 기후변화 공동대응을 위한 남북산림협력도 추진한다.
최병암 산림청장은 “그동안 산림의 질적 성장을 촉진한 결과 입목축적 증가율이 OECD 평균을 넘어섰다”며 “또 임업·산림 공익직접지불제를 도입해 임업경영 기반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민 모두 건강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풍요로운 산림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