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착 진행되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계획…“해저터널 지반 강도 문제없다”

입력 2022-01-04 16:47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방사성 오염수를 해저터널을 통해 방류하려는 도쿄전력이 터널 건설 예정지의 지반 강도 등에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내년 봄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이 차질 없이 준비되는 것이다.

4일 요리우미신문에 따르면 후쿠시마 제1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지난달 21일 제1원전 오염수 방류를 위한 해저터널 등의 공사 계획서를 감독 당국인 원자력규제위원회 제출했다. 이와 동시에 지난달 14~24일 해저터널 건설 예정지인 원전 앞바다의 400m, 700m, 1㎞ 등 3개 지점에서 ‘보링’ 조사를 벌였다. 보링이란 지하자원을 탐사하거나 지층 구조 또는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땅속 깊이 구멍을 파는 걸 말한다.

도쿄전력은 “조사 대상 3개 지점 전체에서 터널 건설에 필요한 수준의 강도를 확인했다”며 “채취한 지질 시료를 정밀 분석해 터널의 상세 설계 및 공법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 봄 오염수 방류를 위한 터널 건설 공사가 지역 주민들과 한국 등 주변국의 반발 속에서 그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졌다.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냉각장치 고장으로 사고가 났던 후쿠시마 제1원전의 1~4호기에서는 유입된 빗물과 지하수, 냉각수가 원자로에 닿아 고농도 방사성 물질이 섞인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다. 매일 약 140t의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고, 지금까지 생성된 오염수만 총 130만t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일본 정부는 지난해 4월 각의(국무회의)를 열고 내년 봄부터 오염수를 정화 처리해 해양에 방류하는 식으로 버리기로 결정했다. 방류를 위해 해저터널을 만들기로 했다. 폭발 사고가 났던 1~4호기 부지에서 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5~6호기 부근에 터널을 파기 시작해 어업권이 설정돼 있지 않은 약 1㎞ 떨어진 앞바다에 배출구를 두는 방식으로 건설할 계획이다.

일본 정부 발표가 나온 뒤 지역 주민은 물론이고 주변국은 거세게 반대 의사를 전했다. 이들은 “오염수를 아무리 정화해도 현재 기술로는 삼중수소(트리튬)라는 방사성 물질이 남는다”며 “오염수가 방출되면 해류를 타고 바다 전역을 오염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대 목소리에도 도쿄전력은 원자력규제위의 인가가 나오는 대로 터널 공사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고바야시 요시미쓰 도쿄전력 회장은 4일 오염수 해양 방출에 대해 “안전과 법 준수를 항상 의식하고, 또한 현지와 사회의 시선을 잊지 않고 논의를 진행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