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가 4일 을지로3가, 신용산 2개 역을 대상으로 ‘역명 병기’ 유상 판매에 나섰다. 역명 병기 유상 판매는 지하철역 이름 옆 또는 밑 괄호 안에 인근 기관이나 기업, 학교, 병원 등의 이름을 함께 표기하고 사용료를 받는 것을 뜻한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8월 을지로4가, 노원, 뚝섬, 역삼, 발산, 내방 등 8개 역을 대상으로 역명 병기 계약을 맺을 사업자를 찾기 위해 공개 입찰을 진행했다. 사업자 선정을 거쳐 을지로4가역은 ‘을지로4가(BC카드)’로, 역삼역은 ‘역삼(센터필드)’으로, 내방역은 ‘내방(유중아트센터)’으로 역명이 결정됐다. 공사 측은 역명 병기 사업으로 연평균 약 25억원의 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6년 처음 시작된 역명 병기 사업은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합쳐져 서울교통공사가 출범한 뒤에는 추가 사업이 진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매년 적자가 누적되자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역명 병기 사업을 재추진했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2016년 3850억원이던 당기순손실은 2017년 5254억원, 2018년 5389억원, 2019년 5865억원으로 늘어나다 지난해 1조1137억원을 기록하며 1조원을 넘겼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지난해 기준 1인당 수송 원가가 2000원이 넘었지만, 무임수송 등을 반영하면 1인당 평균 운임은 954원으로 한 명이 지하철을 탈 때 약 1100원의 손해가 발생하는 셈”이라며 “장기적으로 시설도 개선해야 하는데 계속 적자가 쌓여가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