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당국이 국가안보를 해치는 가짜뉴스를 법률로 규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홍콩 내 반정부 활동을 처벌하는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민주진영 매체가 줄줄이 폐간하고 있는 상황에서 홍콩 당국의 언론 통제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4일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크리스 탕 홍콩 보안국장은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국가안보를 해치는 외부 세력이 가짜뉴스를 이용해 사회 갈등을 부추기고 정부를 공격했다”며 “가짜뉴스를 겨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가짜뉴스를 법률이나 다른 방식으로 규제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탕 국장은 또 지난해 6월 폐간한 빈과일보를 거론하며 “이 신문은 홍콩 시민과 청소년들이 국가나 정부에 대해 잘못된 관념을 갖게 만들었다”며 “외부 세력은 그들에게 이빨을 드러내고 발톱을 휘두를 것을 종용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그들을 반드시 법률로 단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콩 당국이 가짜뉴스 단속을 통해 잡으려 하는 건 반정부, 반중 성향의 매체들이다. 홍콩 정부와 중국 중앙정부에 대한 비판을 원천차단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홍콩에서 보안법이 시행된 지 약 1년 반 만에 민주진영 매체는 설 자리가 없어졌다. 지난해 6월 빈과일보를 시작으로 입장신문, 시티즌뉴스 등 최근 6개월 사이 세 곳의 언론사가 문을 닫았다. 홍콩 당국은 언론사 본사와 전·현직 간부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 체포, 자산 동결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압박하고 있다. 중국 관영 매체는 홍콩 언론이 반중 정치도구가 되지 않도록 더 강하게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