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이어 페북도…“백신 허위정보” 美의원 계정정지

입력 2022-01-04 11:21 수정 2022-01-04 14:49
마조리 테일러 그린 미 공화당 하원의원, AP연합뉴스

트위터에 이어 페이스북도 코로나19 백신 관련 허위정보를 올린 미국 화당 하원의원 계정을 24시간 동안 정지했다.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마조리 테일러 그린 하원의원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텔레그램과 게터(Gettr)에 ‘24시간 동안 게시물을 올리거나 댓글을 달지 못한다’는 페이스북의 안내문 이미지를 올렸다.

그린 의원이 올린 안내문에는 그의 게시물이 페이스북의 허위정보 정책을 위반해 심각한 손해를 끼칠 수 있다고 적혀 있다. 그린 의원은 안내문 이미지와 함께 “트위터가 나를 검열하는 것에 페이스북도 동참했다”며 “이것은 여지없는 언론 검열”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누가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사실과 거짓 정보를 구분하는 권한을 주었느냐”며 “빅 테크(대형 IT기업)들이 선출직 인사의 정치적 발언을 받아들일지 말지 결정하는 것은 우리 정부와 국민들의 이익에 반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해당 게시물은 정부의 백신 부작용 신고 시스템에 올라온 자료로 만든 그래프다. 그린 의원은 이 그래프를 올리며 “극도로 많은 수의 코로나 백신 사망자가 무시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정부가 운영하고 있지만 백신 접종자들이 자체적으로 올린 신고를 모은 것으로, 백신 안전성 우려에 대한 평가가 이뤄진 결과물은 아니다.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메타의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그린 의원의 게시물이 우리의 정책을 위반했다”며 “다만 그의 계정을 완전히 삭제하는 것은 우리의 정책을 넘어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트위터는 지난 2일 그린 의원이 코로나19 관련 허위정보를 반복적으로 올리며 트위터 정책을 수차례 위반했다며 그의 계정 중 하나를 영구 정지했다.

조지아주 하원의원인 그린 의원은 이전에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조작설을 옹호하고, 극우 음모론 단체 큐어넌(QAnon)을 신봉하는 등 극우 성향의 ‘거침없는 언행’으로 여러 차례 물의를 일으켰다.

그는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이 총에 맞아 죽어야 한다거나,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을 교수형에 처해야 한다는 내용의 글을 SNS에 올리기도 했다.

이 때문에 지난해 2월에는 공화당을 포함한 동료 의원들의 투표로 예산위와 교육·노동위에서 퇴출당한 바 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