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현민 “임기 말 문대통령, 아직도 초대하는 국가 많아”

입력 2022-01-04 10:09 수정 2022-01-04 12:53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충남 공주시 공주대학교 옥룡캠퍼스에서 열린 공주대학교 부설 특수학교 설립 간담회 및 기공행사에 참석하기위해 행사장에 입장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문재인 대통령 임기가) 120일 정도 남았는데, 여전히 문 대통령을 초대하는 국가들이 있다”며 “이것만 봐도 지금 대통령과 대통령 정상외교에 대한, 넓게 해석하면 대한민국에 대한 요구가 국제사회에서 상당히 높아졌다고 보이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탁 비서관은 4일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문 대통령의 외교적 성과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탁 비서관은 “저희가 여러 가지 초청이나 이런 것들을 오히려 거절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며 “결국은 그렇게 부른다는 것은 혹은 왔으면 좋겠다고 의사 표시를 한다는 건 그만한 이유가 있겠다”라고 강조했다.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지난해 7월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제7차 비상경제회의)에 참석해 문재인 대통령의 기조연설을 듣고 있다. 뉴시스

그는 또 문 대통령이 “의전을 파괴하는 가장 대표적인 대통령”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현충일 같은 경우도 예전에는 대통령이 중심에 있고 그 옆에 5부 요인들 혹은 국회의원들이 쭉 앉아 있었다”며 “그런 것들도 대개 그 행사의 주인공들이 항상 앞줄을 차지하게끔 바꾸신 것도 대통령”이라고 예를 들었다. 이어 “대통령이 오면 영접 혹은 환송이라고 하는, 들어오고 나갈 때 별로 그럴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하게 줄을 서 있다 (맞이하는) 이런 것들도 저희가 다 없애버렸다”고 했다.

탁 비서관은 “결국은 가장 의전적인 요소들을 빼버리고 행사의 주인공들을 돋보이게 만드는 형식으로 발전해왔던 거지 그거를 마치 무슨 대통령이 좀 더 편하게 혹은 좀 더 대우받게 하려고 만든 것처럼 곡해하고 있다고 본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탁 비서관은 ‘퇴임식 구상을 어떻게 하고 있느냐’는 질문엔 “애석하게도 대한민국 대통령은 퇴임식이 없다”며 “새 대통령의 취임식만 있지 전임 대통령의 퇴임식은 없기 때문에 한 가지 바람은, 가능하다면 (신임 대통령 취임식을) 이취임식 정도로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것)”라고 답했다. 다만 “그건 제가 결정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닌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아시다시피 우리 대통령은 취임식도 상당히 간소하게 급하게 치러졌지 않느냐”며 “좀 아쉬움이 많이 있다. 전임 대통령에 대한 배려와 예우가 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는데 그것도 뭐 개인적인 바람일 뿐이고 어쨌거나 새 대통령의 취임식만 있고 전임 대통령의 퇴임식은 없다, 이게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