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트렌드로 본 경제 키워드…‘블루 이코노미’에 주목하라

입력 2022-01-04 06:01

빅데이터 분석 사이트 ‘구글 트렌드’의 경제 관련 키워드로 다소 생소한 ‘블루 이코노미(Blue Economy)’가 눈에 띄기 시작했다. 블루 이코노미는 한국에선 녹색성장으로도 알려진 ‘그린 이코노미(Green Economy)’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개념이다. 코로나19로 취약해진 세계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재고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4일 구글 트렌드에서 전 세계와 지난 12개월을 기준으로 삼아 경제(economy)를 검색해보면 다양한 ‘관련 주제’가 나열된다. 이 중 유독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관련 주제가 있다. 블루 이코노미와 그린 이코노미다. 지역별로 차이가 읽힌다. 두 가지 키워드를 상대 비교해보면 북미나 유럽 등에서는 그린 이코노미보다 블루 이코노미 검색량이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된다. 선진국일수록 블루 이코노미에 더 많은 눈길을 준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블루 이코노미는 벨기에 환경운동가 군터 파울리가 2010년 발간한 저서 ‘블루 이코노미: 10년, 100가지 혁신, 1억개 일자리’를 통해 처음 소개한 개념이다. 요약하자면 기업이 자연에서 배운 새로운 친환경 기술로 생산·소비 체계를 혁신하고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경제를 말한다. 인체 부작용이 없는 거미줄 모방 의료용 실처럼 자연에서 배우는 생체모방기술이나 해조류에서 추출하는 에너지 등이 블루 이코노미의 사례로 꼽힌다.

자연에서 따온 기술만이 다가 아니다. 기술 개발로 저탄소 사회를 지향한다는 점에서는 환경을 보전하면서 경제·사회적 편익을 최적화하는 경제 형태인 그린 이코노미와도 궤가 비슷하다. 다만 인식 차이가 있는 편이다. 일례로 그린 이코노미는 환경에 유해한 석탄화력발전과 같은 화석연료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데 역점을 둔다. 이 목표를 위해 정부 지원을 요구한다. 반면 블루 이코노미는 이곳에서 배출하는 탄소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있다면 시설을 유지해도 무방하다고 진단한다. 배출량 감축이라는 동일한 목표는 달성하면서 새로운 부를 창출해냈기 때문이다. 그린 이코노미에 비해 시장 경제 논리에 충실하다.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강점이 있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기후변화협약을 탈퇴했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례나 지난해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탈석탄에 제동을 건 중국·인도 사례에서 보듯 그린 이코노미는 정치에 취약하다. 군터 파울리는 그린 이코노미가 또 다른 세계적 과제인 실업이나 기아 해결 능력이 떨어진다는 점도 문제로 꼽았다.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이 혁신적인 친환경 기술로 시장 질서를 바꿔 성장하는 형태인 블루 이코노미는 이 두 가지 문제에서 자유로운 편이다. 코로나19로 제동이 걸린 세계 경제의 반등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군터 파울리는 저서에서 “사회적 목표와 환경 보전을 달성하면서도 사업을 할 수 있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