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새해 첫날 강원도 최전방 동부전선에서 월북 사건이 발생한 것과 관련해 군을 질책하지 않은 것으로 3일 알려졌다.
당시 탈북자로 추정되는 인물이 철책을 넘는 장면이 감시장비에 포착됐고 경고등도 울렸지만, 군은 3시간이 지나서야 월북 사건을 파악했다. 새해 벽두부터 군의 경계 실패가 드러난 것이다.
그럼에도 문 대통령이 군에 대해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으면서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3일 내부 참모회의에서 (군에 대한 문 대통령의) 질책은 있지 않았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월북 사건 발생 이후 서주석 국가안보실(NSC) 1차장 등을 통해 관련 보고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안보실이 아닌 비서실 참모들이 주로 참석한 이날 참모회의에선 월북 관련 논의가 아예 나오지 않았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군 당국은 지난 2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 군 통신선을 통해 대북통지문을 발송했다. 통지문엔 월북자의 신변을 보장해 달라는 내용이 담겼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이 통지문을) 잘 받았다는 회신은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만 북한은 우리 정부의 월북자 신변보장 요청에 대한 구체적인 답을 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합참에 따르면 지난 1일 오후 월북자 1명은 강원도 고성 육군 22사단 관할 동부전선 군사분계선(MDL)과 일반전초(GOP) 철책을 넘어 북으로 넘어갔다.
철책에 설치된 과학화 경계시스템의 광망체계 경보가 정상적으로 작동해 당시 초동조치 부대가 출동했으나 ‘철책에 이상이 없다’고 자체 판단하고 철수했다.
월북자가 철책을 넘는 장면이 폐쇄회로(CC)TV에 녹화됐지만 감시병이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감시망에 구멍이 뚫렸다는 비판이 나왔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