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기사’ 감시에 2억원대 혈세 쓴다는 환경부

입력 2022-01-03 17:07

환경부가 올해 환경 정책에 부정적인 기사를 모니터링하는 사업에 2억원 넘는 예산을 투입한다. 문재인정부 출범 첫 해인 2017년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늘어난 금액이다. 정부 추진 정책에 불리한 보도를 선제적으로 막겠다는 의도도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3일 환경부에 따르면 ‘2022년도 뉴스 모니터링 사업’에 2억3500만원 예산을 책정하고 오는 10일부터 용역업체 입찰 접수를 개시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해당 사업 공고문에서 “2022년 부정적인 뉴스 보도에 선제적 대응, 정확한 환경 정보를 국민에게 전달하기 위해 긴급 입찰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환경 정책 기사에 대해 긍정·부정 여부를 분류하고, 부처 입장을 반영한 설명·반박 등에 활용하겠다는 것이 이 사업의 핵심이다. 탄소중립과 탈원전 문제, 재생에너지 사업, 4대강 복원사업, 가덕도 신공항 개발 등 현 정부 정책을 비판하는 기사가 주요 타깃이 될 가능성이 크다.

환경 정책 뉴스 스크랩과 언론의 부정적 기사 감시가 목적인 이 사업은 2017년에 6800만원이 처음 배정됐고 2018년 이후부터는 연 예산이 2억원대로 급증했다. 2017~2022년까지 5년간 책정된 예산은 11억1000만원에 이른다.

환경부가 해당 사업의 목적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가짜뉴스를 바로 잡는 업무가 부처 입맛에 맞지 않는 비판적인 기사를 감시하는 식으로 변질돼선 안된다는 것이다. 지난달 통일부도 올해부터 북한 관련 가짜뉴스에 대응하기 위해 모니터링 사업 예산 2억원을 신규로 편성한 바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환경 정책에 대한 부정적인 기사를 미리 차단하겠다는 의도는 없다”며 “건전한 비판 보도는 환경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