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를 비롯한 일부 수사 기관들이 통신자료를 조회했다며 이에 반발하는 목소리를 냈다.
대학생단체 ‘신(新)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신전대협)는 3일 새벽 경희대와 서울대 등 전국 113개 대학 캠퍼스와 민주인권기념관에 “문재인 정부의 대학생 통신 사찰”이라는 제목의 대자보를 붙였다.
신전대협은 대자보에서 “공수처, 검찰, 경찰에서 민간인을 수백만 건 이상 사찰했다. 저희 대학생들도 예외는 없었다”며 “공수처와 인천지검 등에서 저희 중 대자보를 붙이거나 독서 모임을 했던 학생들의 통신자료를 들여다 봤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저희가 고위공직자입니까, 아니면 범죄자입니까, 저희가 불온서적이라도 소지하고 있습니까. 무차별 통신사찰 다음은 누명 씌우기와 자백 강요입니까”라고 반문했다.
이어 “우리의 일거수일투족이 통제당하는 세상이 그리 멀지 않았다”며 “문재인 정권과 민주당은 앞으로 민주주의와 인권이란 말을 꺼내지도 말라. 동시에 수사 기관은 무고한 저희의 통신 정보를 어떠한 사유로 조회했는지 밝히라”고 강조했다.
신전대협에 따르면 공수처와 인천지검 등은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3차례에 걸쳐 이 단체 소속 회원 6명의 통신자료를 조회했다. 신전대협은 추후 공수처 등을 방문해 통신 사찰을 규탄하는 행사도 벌일 계획이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