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가 전국 최초로 어린이·노인보호구역 등 교통안전 보호구역 신설에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운영 기반을 마련했다.
어린이·노인 보호구역 지정에는 주변을 통행하는 교통약자의 보행체계와 교통사고 내역에 대한 분석이 중요하지만 정작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분석 방법이 없어 담당 공무원이나 교통경찰관의 직관적 관측에만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보호구역의 관리 체계성과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다.
3일 경기도와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에 따르면 도는 경기남부권 21개 시·군(31개 경찰서)별 지리정보데이터에 통신사 유동인구 데이터 7700만 건과 최근 5년간의 교통 보행사고 데이터 1만2918건을 연계해 분석을 완료했다.
이번 분석을 위해 경기남부 전역을 50×50m의 격자 약 23만 개로 분할, 격자별로 어린이(10세 미만)와 노인 연령대(60대 이상)의 통신사 유동인구를 입력했다.
이어 시·군별 유동인구 밀집도를 5단계로 분류한 뒤 경찰에서 관리 중인 보호구역과 교통사고 발생현황을 입력해 보호구역 관리에 필요한 교통자료를 지리정보시스템상에 구현했다.
이러한 분석 연구를 통해 수원시의 경우 아파트단지와 초등학교-유치원이 밀집한 망포역 인근을 어린이보호구역으로, 노인 보행유동인구가 밀집해 있고 교통사고가 잦은 팔달문시장 일대를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왔다.
도는 수원시 망포역 인근을 포함한 도내 62개 지역 등에 대한 보호구역 신설 여부를 면밀히 검토할 예정이다.
유·초등 교육기관이 밀집해 있고 보호구역 내 어린이 사고 발생이 높은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일원(2016년 1월~2021년 8월 보행사고 37건) 등 지역별 보행사고 밀집 구역 10여 개소에 대한 유관기관 합동 일제점검 등 보행안전 강화 특별대책도 추진한다.
남부자치경찰위원회는 올 초 유관기관 합동 보호구역 안전진단을 실시해 해당 지점 등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을 시·군 측과 협의할 방침이다.
김덕섭 남부자치경찰위원장은 “빅데이터 분석 협업은 자치경찰제 주민밀착형 치안정책 수립의 출발점”이라며 “자치경찰위원회와 도경찰청이 교통약자 안전관리를 위해 빈틈없이 공조하고 법규준수 캠페인 활성화 등 안전한 교통문화 정착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승현 도 데이터정책과장은 “앞으로 더욱 다양한 도정 현안을 실용적으로 분석해 과학도정 수행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