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공주대 부설 장애학생 특수학교 기공식에 참석한 것은 행사 의미를 고려해 대통령 직접 방문이 필요하다는 문 대통령 의견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일 SNS에 ‘브리핑에 없는 대통령 이야기’를 올려 문 대통령이 당시 행사에 참석하게 된 과정을 소개했다.
박 수석에 따르면 애초 이 행사는 청와대 기준상 대통령 참석 대상이 아니어서 대통령 축사 대독 정도가 검토됐다고 한다.
박 수석은 “준공식도 아닌 기공식은 대통령 임석 행사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김정숙 여사가 참석할 행사도 아니라고 판단해서 참모들은 축사 대독 등으로 그 의미를 국민께 전하는 것으로 의견을 조율했다”면서 “그러나 대통령의 생각은 달랐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국립대 부설로 특수학교를 설립하는 첫 출발이니 제가 직접 가겠다’고 했다고 박 수석은 전했다.
문 대통령은 기공식 참석 당일 학부모들과의 간담회에서 “일부 지역에서 장애인 특수학교 설립을 반기지 않는 분들이 적지 않아 안타깝다”며 “너른 마음을 갖고 우리 아이의 일로 여겨 달라”고 당부하며 의미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행사 참석 후에도 청와대 참모들을 만나 “올해 수많은 행사를 다녔지만 가장 따뜻하고 훈훈한 일정이었다”며 “대통령이 가야 할 곳이 바로 이런 곳”이라고 거듭 강조했다고 한다.
박 수석은 문 대통령이 이번 행사에 참석하기로 한 배경에는 발달장애인 정책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있다고 부연했다. 2018년 어린이날 행사 때도 문 대통령은 보건복지부 장관과 치매국가책임제 이야기를 하던 중 “치매환자 가족처럼 발달장애인 부모 부담이 과중해 국가가 그 책임을 나눠 가져야 한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
박 수석은 당시 대통령 지시사항으로 ‘발달장애인 종합대책’이 마련됐고 이 같은 노력의 결과로 관련 예산은 2018년 85억원에서 지난해 1512억원으로 증가했다고 전했다.
박 수석은 “대통령의 지시로 발달장애인의 영유아 시기부터 청소년기·청년기·중장년기까지 생애주기별 필요 서비스를 분석해 맞춤형으로 만든 최초의 종합대책이 문재인 정부에서 선보였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평가했다.
이어 “발달장애 정책이 문 대통령의 시선과 공감을 디딤돌 삼아 비약적으로 발전했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멀다”며 “다음 정부가 발달장애 국가 책임제로 더욱 발전시켜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