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 “미국인 3명 중 1명, 정부에 대한 폭력 행동 가능”

입력 2022-01-02 09:39

미국인 3명 중 1명은 정부에 대한 폭력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여긴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치적 분열, 전염병 팬데믹에 대한 두려움이 정부에 대한 폭력 저항 불씨를 키우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워싱턴포스트(WP)는 1일(현지시간) 메릴랜드대와 공동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정부에 대한 폭력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응답이 34%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정당화될 수 없다’는 응답(62%)보다 훨씬 낮지만, 같은 질문을 던진 기존 조사와 비교해선 가장 높은 수준이다. 1995년 5월 조사에서 긍정 응답은 9%에 불과했다. 이후 2011년 1월 16%, 2015년 10월 23%로 조금씩 높아졌다.

WP는 “20여 년 전 관련 질문을 시작한 이후 가장 큰 비율”이라며 “지난해 의회 폭동,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선거사기 주장 부상, 전염병 퇴치를 위한 정부 역할에 대한 분열, 인종 차별 심화 등 격동의 시기 미국 국가 정신에 대한 창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정치 성향별로는 공화당 40%, 무소속 41%가 정부에 대한 폭력을 수용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민주당에서는 23%만 이 같은 견해를 지지했다.

남성, 젊은 성인, 대졸자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긍정 응답이 나왔다. 특히 백인 40%는 폭력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답했지만, 흑인은 18%만 동의했다.

폭력 행동이 정당화되는 정부 상황을 묻는 말에 22%는 ‘권리나 자유를 침해하거나 박탈할 때, 사람들을 억압할 때’라고 답했다. 이어 ‘더는 민주주의가 아닐 때/독재일 때 등’ 15%, ‘헌법을 어길 때’ 13%, ‘권력 남용/폭정’ 12%, ‘시민에 대해 폭력적일 때/안전이 위협받을 때’ 11% 등 순으로 나타났다.

WP는 “코로나19로 인한 제한조치, 소수자 유권자에 대한 권리 박탈, 미국인에 대한 억압 등 다양한 이유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많은 사람, 특히 공화당원 사이에서는 공중 보건 조치에 대한 강화된 조치가 정부에 대한 폭력 행위 관점이 바뀌는 요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미국인 60%는 지난해 의회 폭동에 대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책임에 대해 ‘매우 많다’ ‘상당히 많다’고 답했다. 그러나 공화당원 72%, 지난 대선 때 트럼프 전 대통령을 지지했던 유권자 83%는 ‘일부 있다’거나 ‘전혀 없다’고 답했다.

WP는 “의회 폭동 이후 1년 동안 당파적 전쟁이 얼마나 계속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부정선거에 대한 거짓으로 분열을 부채질했다”며 “민주주의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면서 통합에 대한 희망은 크게 사라졌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