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자대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보다 오차범위 내에서 앞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일 나왔다.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9~30일 전국 성인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년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내일이 투표라면 어느 대선후보에게 투표할 생각인가’라는 질문에 이 후보는 34.3%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윤 후보를 고른 응답자는 전체 중 28.7%로 나타났다. 두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5.6%포인트로 이 후보가 윤 후보를 오차범위(±3.1%포인트) 내에서 앞섰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9.0%를 기록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의 지지율은 4.5%로 조사됐다. ‘4명(이재명·윤석열·안철수·심상정)이 아닌 다른 인물에 투표하겠다’는 답변은 2.9%였고, ‘투표할 사람이 없다’는 14.9%, ‘모름·무응답’은 5.7%로 나타났다.
지역 별로는 서울에선 이 후보가 33.2%로 윤 후보(26.6%)를 오차 범위 밖인 6.6%포인트 앞섰다. 인천·경기에서도 이 후보는 35.8%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윤 후보(28.3%)보다 높았다. 부산·울산·경남에선 이 후보 31.0%, 윤 후보 26.0%로 오차범위 내 지지율이 나타났고, 충청권에서도 이 후보 30.2%, 윤 후보 35.5%로 집계돼 오차 범위 내 지지율을 보였다. 호남에선 이 후보가 60.2%, 윤 후보가 9.7%로 집계됐고, 대구·경북에선 이 후보가 15.6%, 윤 후보가 43.2%로 나타났다. 강원·제주에선 이 후보가 32.7%, 윤 후보가 43.7%를 얻었다.
‘정권 심판을 위해 야당 후보를 지지해야 한다’는 정권 심판론은 47.8%, ‘정권 교체를 막기 위해 여당 후보를 지지해야 한다’는 정권 재창출론은 37.5%를 기록하며 10.3%포인트 차이를 나타냈다. 한국일보·한국리서치의 지난해 신년 여론조사에서는 정권 심판론(47.4%)과 정권 안정론(45.2%)이 팽팽했다.
유·무선전화(무선 91.01%, 유선 8.9%) 임의걸기(RDD) 방식의 전화면접조사를 이용했다. 응답률 17.2%(총 5845명과 통화해 1005명 응답 완료)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