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지금 상황에서 후보 교체를 하면 선거를 치를 필요도 없이 진다”며 야권 일각에서 나오는 ‘후보 교체론’ 가능성을 일축했다. 윤석열 대선 후보, 김종인 총괄위원장과 ‘선대위 쇄신’을 둘러싼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점도 시사했다.
이 대표는 30일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과의 오찬 전 녹음해 방송한 KBS 라디오 ‘최영일의 시사본부’에서 후보 교체론이 불가능하다고 못 박으며 “좋든 싫든 당원 모두는 윤석열 후보의 당선을 위해 각자 위치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것이 저처럼 선대위 운영 과정의 잘못을 지적하는 방식이든지, 아니면 각자 홍보를 하는 방식이라든지, 후보의 장점을 설파하는 방식이라든지 그건 당원들이 알아서 판단하시되 우리 후보는 윤석열”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윤 후보에게 선대위 개편을 요구한 것과 관련해선 “선거 때 선대위가 재구성되는 과정은 너무 일상적이고 당연하다”며 “우리 국민이 다시 우리 당의 우리 후보를 지지하도록 하는 ‘상승 모멘텀’을 만들기 위해 뭔가 파격적인 외형적 변화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우리 당 선대위에 대해 잘하고 있다고 평가할 국민이 몇 명이나 될까”라고 반문하며 “그런데도 거꾸로 선대위에서 책임지겠다는 인사, 직을 던지겠다는 인사는 안 보인다”고 비판했다. 이어 “분명히 지금 지지율이나 여러 지표는 나빠지고 있는데 그럼 ‘후보가 잘못한 거냐, 아니면 보좌하는 사람이 잘못된 거냐’ 했을 때 보좌한 사람들이 잘못했다는 걸 인정해야 한다. 그런데 선대위에서 살신성인 자세를 보일 생각이 없다”고 꼬집었다.
이 대표는 “김종인 위원장의 문제의식은 어쩌면 저보다도 한 발짝 앞서 있을 것”이라며 “아마도 제가 (선대위 쇄신을) 생각하기도 전에 이미 김 위원장이 제안했을 것으로 추측한다”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상황이 그렇게 되지 않는 이유는 청취자들의 상상에 맡기겠다”라고 덧붙였다. 윤 후보가 김 위원장의 선대위 개편 건의를 불수용했다는 점을 에둘러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좋은 게 좋은 것’이라는 말씀으로 지금 상황을 봉합하자는 분들도 있겠지만, 그렇게 봉합하면 과연 지금 우리 후보에게 이탈했던 그 지지층을 다시 가져올 수 있을까”라며 “우리 후보 또는 선대위가 변화한 모습을 보이겠다고 국민에게 선언하고 그에 대해 국민이 관심을 가져줄 때 지금 선대위의 난맥상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자신의 선대위 복귀에 대해선 “제가 들어가고 말고가 무슨 상관이 있나. 선대위 복귀 의사가 없다”고 재차 못 박았다.
선대위 전략 부재에 대한 이 대표의 비판은 계속됐다. 그는 “선대위가 득표에 기여되는 활동을 한 것 가운데 국민 기억에 남는 게 있느냐. 우리 인재 영입 중 우리의 지형을 넓힌 경우가 있나”라고 물었다.
이 대표는 후보 직속 새시대준비위원회 수석부위원장으로 영입된 신지예 전 한국여성네트워크 대표를 언급하며 “20대 여성 표를 가져오겠다는 취지로 했다는데 2주간 (표가) 들어온 건 없고 나간 것만 많다. 냉정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질책했다.
그는 “최근에 후보 주변의 어떤 분들이 조언했는지 모르겠지만, 일련의 영입이나 정책, 발화 속에 ‘세대 포위론’ 또는 ‘세대결합론’을 더 지속할 기반이 없어졌다”며 “반문을 강조하든 아니면 보수 총결집론 같이 2020년에 했다가 망했던 것을 또 하든 전략을 세워서 가시라”고 지적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