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외무장관이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개인적으로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앞서 미국이 베이징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이유로 삼았던 중국 신장 지역 위구르족 이슈를 거론했다. 향후 유럽연합(EU)의 움직임을 가늠해볼만한 행동이다.
안나레나 베어복(사진) 독일 외무장관은 29일(현지시간) DPA통신에 EU가 중국 신장 지역 위구르족의 강제노동 상품을 수입 금지해야 한다며 유럽의회 입장을 지지한다고 발언했다. 베어복 장관은 독일이 여전히 EU 국가들과 함께 베이징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관련 공동 입장 조율을 모색 중이라고도 덧붙였다.
베어복 장관은 또한 베이징올림픽에 개인적으로 불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독일 정부의 공식 방침이 아닌 개인적인 결정이라고 선을 긋기는 했지만 이를 따로 언급한 것 자체가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앞서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베이징올림픽에 참석할지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밝힌 상태다.
다만 독일이 명백하게 베이징올림픽 보이콧 쪽으로 기울었다고만 보기는 어렵다. 숄츠 총리는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경제적 관계를 돈독히 하고 싶다고 말했다. 녹색당 소속으로 연정에 합류한 베어복 총리가 그간 중국에 비판적이었던 자신과 녹색당의 입장을 재차 밝힌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베어복 장관이 거론한 강제노동 상품이란 중국 서부 신장 지역 위구르족 인권 관련 이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같은 문제를 이유로 베이징올림픽 보이콧을 선언하는 한편 지난 주 신장 지역 상품 수입 금지 법안에 서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보이콧 선언 이후 호주와 캐나다, 영국 뉴질랜드 등이 동참했다. EU 주요인사들 역시 최근 같은 상품의 수입금지 조치를 자주 언급하고 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