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처냐”…尹 선대위, 공수처 통신조회 ‘사찰’ 규정

입력 2021-12-30 09:57 수정 2021-12-30 11:32
김병민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 연합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부인 김건희씨, 국민의힘 의원 다수의 통신자료를 조회한 것을 두고 선대위 측이 “오죽하면 ‘윤수처’라는 말까지 나온다”라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현재까지 공수처로부터 통신조회를 당한 것으로 집계된 국민의힘 소속 의원은 78명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고도 전했다.

김병윤 윤 후보 선대위 대변인은 30일 YTN 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고위 공직자를 수사하기는커녕 야당을 향한, 윤 후보만을 향한 수사라고 볼 수 있는 여지가 상당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공수처가 ‘고발 사주’ 사건과 많은 일을 수사했지만 아무런 결과를 내지 못했다”며 “그 당시 통신조회가 이뤄진 모습을 보면 공수처는 본연의 역할과 기능을 완전히 상실했다”고 질타했다. 그는 지난 10월부터 윤 후보와 수시로 통화를 하는 과정에서 자신 역시 공수처로부터 통신조회를 당했다고 주장하며 김진욱 공수처장의 즉각 사퇴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단순한 정치인의 통신자료를 조회하는 것을 넘어 야당 대선 후보와 관련된 상황”이라며 “저뿐 아니라 윤 후보 그리고 가족 일까지 확대될 것이라고는 정말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정치인에 대한 통신 조회도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수사 대상과 아무 관계가 없는 일반 국민을 통신조회하는 사례도 무차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며 “피해를 보고 계신 국민이 계실 수도 있기 때문에 지금 국민의힘 차원에서도 이 문제를 분명하게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막무가내로 공수처를 밀어붙인 정치적 책임을 누군가는 져야 하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그는 공수처의 통신조회를 ‘사찰’로 규정하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김 대변인은 “야당 정치인, 야당 대선 후보에 대한 사찰이라는 표현이 조금도 과하지 않다”며 “(공수처가 통신조회한) 80명 정도면 국민의힘 거의 대다수의 의원이지 않으냐. 민주당 의원 혹은 민주당 정치인은 얼마나 통신조회가 됐는지 국민께서 궁금해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공수처가 야당 정치인을 핵심적으로 통신조회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얘기해야 하지만 설명을 못 하는 상황”이라며 “제 기능을 상실했기 때문에 사찰 그 이상의 비난이 쏟아지더라도 공수처는 할 말이 없는 상황”이라고 질책했다.

김 대변인은 윤 후보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선거에 대한 개입 문제, 야당 정치인을 사찰한 문제 이상의 강력한 비판들이 쏟아질 수 있다고 본다”며 “공수처가 대한민국 민주주의에서 야당 대선 후보, 야당 정치인들 (사찰하는) 정보기관으로 전락하게 된다면 모든 피해는 국민의 몫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국민과 함께 이 문제를 더 심각하게 따져 물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