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무증상과 경증 확진자를 대상으로 한 재택치료 시행 초기인 지난 10월, 재택치료를 받던 환자가 미흡한 응급대응으로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 재택치료에 있어 상태 악화에 따른 응급상황 시 신속한 대처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경종을 울린 사례였다.
정부가 모든 확진자의 원칙적 재택치료 방침을 밝힌 후 대상자가 급증하면서 의원급 의료기관 참여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서울시의사회 차원의 의원급 재택치료, 이른바 ‘서울형 모델’의 실행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29일 재택치료 현장 및 응급의학 전문가들과 함께 현장상황을 점검하고 이후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서울시 재택치료협의체 위원장인 박명하 서울시의사회장은 현재 서울형 재택치료 의 시행 여부에 대해 “앞으로 확진자 급증과 변이 바이러스 출현에 있어, 병원급 의료기관의 부담을 분산시키고 환자를 세심하게 관리하는 등 의원급 재택치료 서울형 모델이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일부 미온적인 지자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서울형 모델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지자체 등의 적극적인 협조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오동호 중랑구의사회 재택치료 운영단장은 현장의 목소리를 전했다. 오 단장은 “이송시스템 등 1차와 2차 의료기관의 긴밀한 협력관계 구축이 중요하다. 동네의원과 병원의 백업시스템만 잘 갖춘다면 환자들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이라며 “현재 지역감염이 만연된 상태기 때문에 대형병원이 아닌 동네의원이 중심돼야 의료체계의 붕괴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선옥 서초구보건소장은 재택환자의 응급상황 발생 시 지자체 대처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그는 “이전까지는 병상이 배정되기를 기다리면서 환자 상태가 점점 악화되는데도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무력감에 지치고 허탈했다”면서 “쏟아지는 확진자를 전부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의원급 의료기관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보건소에서의 행정적 어려움이 분명 있지만, 재택치료가 원활히 정착될 수 있도록 환자 분류 등 관 차원의 협력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장은 “그간 여러가지 대책 중에 응급의료에 대한 대책이 전혀 없었다는 점이 매우 안타깝다. 재택환자의 응급실 이송이 막혀있는데, 이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게 의료진들의 숙제다. 관련한 행정지원도 확대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응급의료체계는 지금 완전히 포화상태이기 때문에 부담을 더 가중시켜선 안되고 의원급과 병원급의 각각 기능에 맞게 적극적인 치료 방법들을 동원해서 상태 악화를 예방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확진된 모든 환자를 연계받는 전담병원이자 허브 역할을 하는 서울의료원 응급의료센터의 상황에 대해 표창해 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과장은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서 확진자 수는 증가하지만 중증도가 떨어지고 있는데, 이 시점에서 의원급 재택치료는 좋은 방안이다. 재택환자의 응급상황 시 의뢰하고 회송하는 연계 체계와 배후조치, 안전장치 등이 선결되는 게 중요하다”면서 “오늘 당장의 상황이 아닌 2주 후, 그 이상을 바라보고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참석자들은 재택치료가 안정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 동네의원부터 대형병원까지 종합적이고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점에 의견을 함께 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