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가 중수소와 개인화 알고리즘 기술로 성능을 개선한 차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패널을 내년부터 양산한다.
LG디스플레이는 29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차세대 TV 패널 ‘OLED.EX’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EX는 OLED의 끊임없이 진화(Evolution)하는 기술로 고객에게 진화된 경험(Experience)을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신제품은 중수소와 개인화 알고리즘 등 ‘EX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화면 밝기(휘도)를 기존 제품보다 30% 높였다. 일반 수소보다 2배 무거운 중수소는 극소량만 존재하다. 자연계에서 약 6000개 수소 원소 가운데 1개 수준으로 있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물에서 중수소를 추출해 유기발광소자의 수소를 중수소로 바꿨다. 전기자극과 내열에 강해지는 등 안정성이 높아져 밝기를 높여도 고효율로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머신러닝 기반의 개인화 알고리즘은 사용자 시청패턴을 학습하고 유기발광소자의 개별 사용량을 예측해 디테일, 색을 더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날 제품을 비교해서 본 결과 OLED.EX 제품에서 물방울이나 꽃의 줄기 등 밝은 부분의 휘도가 더 높고 색이 선명했다. 65인치 기준 베젤 두께도 기존 6㎜에서 4㎜로 약 30% 감소해 몰입감 있는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LG디스플레이는 신제품을 내년 2분기부터 경기 파주와 중국 광저우에서 생산하는 OLED TV 전체 시리즈에 적용할 계획이다. 내년 출하 예상치는 1000만대 수준이다. 전체 제품의 약 70%를 OLED.EX로 대체할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 측은 소비자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편 LG디스플레이는 고객사와 관련해 말을 아꼈다. 오창호 LG디스플레이 대형사업부장은 최근 제기되는 삼성전자와 협력설에 대해 “아직 말씀드릴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 고객사와 관련해서는 언급할 수 없다”고 했다. 고객사 추가 공급 계획에 대해서도 “현재 TV 세트 업체 중 삼성전자와 TCL 외에는 모두 공급하고 있다. 그 외에는 언급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양한주 기자 1wee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