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2030년까지 청주의 신규 주택수요가 적게는 3만5000여가구, 많게는 6만6000여가구로 추정된다는 연구용역 결과가 나왔다.
29일 청주시에 따르면 청주시 주택정책 기본계획 연구용역을 한 한국도시연구소는 현재 수립된 각종 개발계획에 따라 오는 2030년까지 3만5219가구~6만6251가구가 신규 공급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를 고려하면 청주 인구는 올해 85만8782명에서 2030년에는 90만9209명∼94만502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가구 수는 올해 35만7830가구에서 2030년에는 41만3277가구∼42만7501가구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향후 주택 공급시장을 이끄는 원동력은 산업단지와 민간주택, 공원개발, 재개발·재건축이 꼽혔다.
현재 청주지역에서 계획된 개발 사업은 49개 지구, 6만7314가구다. 이 중 29개 지구, 2만5700가구는 진행 중이거나 계획 확정된 상태다.
사업 유형별(미확정 포함)로는 도시개발 6028가구, 택지개발 2704가구, 행복주택 582가구, 주택건설 1만631가구, 공원개발 6870가구, 재개발 1만1695가구, 재건축 2776가구, 산업단지 2만205가구 등이다.
도시연구소는 수요와 공급 가능성에 대한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2025년까지는 일시적으로 공급 초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도시연구소는 주택정책방향과 추진과제로 양질의 부담 가능한 주택 공급, 쾌적한 환경을 위한 주거의 질 개선, 맞춤형 주거복지 지원 등을 선정했다.
도시연구소는 이를 위해 1·2인 가구 수요에 맞는 중소형 주택 공급과 재개발·재건축 해제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 관리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도시연구소는 청주시 공공주택과를 ‘주택과’로 변경해 주택공급 컨트롤타워로 삼고 주택정책을 원활히 수행할 주체로 ‘청주시도시공사(가칭)’ 설립을 주문했다.
청주시 관계자는 “청주는 2020년 6월 미분양관리지역 해제와 동시에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됐다”며 “이때를 전후로 3.3㎡당 매매가격이 급등하는 등 여전히 주택시장이 과열돼 있어 향후 주택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주택정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