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29일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거리두기 연장 필요성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신현영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 본청에서 열린 ‘코로나19 비상대책본부 2차 당정협의’ 후 브리핑에서 “중환자실 가동률과 위중증 사망 지표가 호전되는 데 조금 더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높다”며 “거리두기 연장 필요성에 대해 당정 간 어느정도 공감을 했다”고 전했다.
다만 업종별 특성에 따라 피해가 클 것으로 보이는 부분에 대해서는 미세조정 검토를 정부에 당부했다고 신 대변인은 설명했다.
당정은 청소년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 의무화의 적용 시기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민주당은 학부모와 학원업계의 반대 목소리를 전하고, 의무화할 경우 백신 접종 이상반응에 대한 충분한 보상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2월 1일로 예정된 적용 시점에 대해 계도기간이 더 필요하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달라고도 촉구했다.
민주당은 또 정부가 도입하기로 한 경구용(먹는) 치료제와 관련, 충분한 예산 확보와 합리적인 처방시스템도 주문했다.
코로나19 재택치료 시스템과 관련해서는 60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재택치료보다 생활치료센터나 입원치료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요청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9000만회분 백신이 구비돼 있으나 코로나 백신 4차 접종 가능성에 대비해 현재 3조2000억원보다 많은 예산을 확보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의료기관 치료 병상을 1만9000개에서 2만5000개로 늘리고, 60만명분 경구용 치료제 예산(6000억원)도 40만명분 추가 구매를 위해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했다.
신 원내대변인은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대해 정부는 구체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지만 코로나 관련 예산 확대는 불가피할 것”이라며 “정부의 구체적 대응 방안을 다시 한번 당부하고 과감한 투자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전달했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