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29일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남북관계 개선의 하나의 계기로 삼기로 희망했으나 현재로서는 그런 기대가 사실상 어려워지고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내신기자 대상 간담회에서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또는 남북중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을 묻는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다만 정 장관은 “끝까지 희망을 버리지 않고 모든 계기를 이용해서 남북관계 개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조기 재가동을 위해서 정부는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중국 측을 통해 종전선언과 관련한 북한의 입장을 전달받은 게 없다고도 했다. 그는 “종전선언 제안에 대해서 북한은 일련의 신속한 그리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왔다”며 “좀 더 구체적인 대응이나 반응이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 장관은 종전선언과 관련해 “한미 간에 이미 그 중요성에 대해 공감을 하고 있다. 종전선언 문안에 관해서도 사실상 합의가 돼 있는 상태”라며 “북한과의 협의를 어떻게 진전시켜야 될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검토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은 언제 어디서든 어떠한 의제에 관해서도 조건 없이 만나서 협의할 용의가 있다고 밝혀왔다. 북한에 대한 적대적 의도가 없음을 여러 차례 명백히 밝혔고, 북한이 적극적으로 호응해 올 경우 인도적 협력을 할 용의도 있다고 발표했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또 “종전 선언은 우리 정부로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항구적 평화 정착을 이뤄나가는 과정에서 꼭 거쳐야 할 중요한 단계라고 보고 있다”며 “남북 간에는 2007년 10.14 성명, 2018년 4.17 판문점 선언을 통해서 종전선언 추진에 이미 합의를 한 상태다. 북한이 보다 긍정적으로 호응해 오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북한의 핵 개발 움직임에 대해선 “한미 간 여러 가지 북한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깊은 우려와 관심을 가지고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며 “하루라도 빨리 북한을 대화로 견인해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재가동하는 것이 가장 최선의 방법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베이징올림픽 참석과 관련해 정 장관은 “외교적 보이콧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떠한 방식으로 참석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정부 내에서 여러 가지 상황을 검토해서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미국 측의 외교적 보이콧 동참 요청은 없었다”며 “베이징올림픽에 참석하는 문제는 각국 정부가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해서 검토해 나가야 될 문제라고 본다”고 말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