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내년 건강·보건정책의 핵심이 ‘위드 코로나’가 될 것이라고 29일 밝혔다. 시는 위중증 증가, 오미크론 변이 등 코로나19 상황이 계속되고 있지만 방역에 바탕을 둔 일상회복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웠다.
대구시는 내년 시민건강국 예산을 9752억원으로 확정했다. 신규나 확대 예산 상당 부분을 위드 코로나 대비 공공보건의료 강화, 방역과 일상이 조화를 이룬 감염병 안전도시 구현, 코로나19 이후 외식·생활서비스산업 활력회복 기반조성에 투입한다.
공공보건의료 강화를 위해 대구의료원 기능을 확대한다. 23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필수진료시설, 진료공간을 확충한다. 또 공익적 비용결손, 코로나19 이후 운영 정상화 지원, 공공보건의료지원단 1개팀(공공병원정책팀) 신설 등을 통해 대구의료원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운영 정상화를 지원한다.
코로나19 장기화에 지친 대구시민들의 정신 건강을 돌보는 사업도 시행한다. 맞춤형 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을 실시해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불안, 사회적 고립감 등 정신건강 위험을 줄이는 심리방역을 강화한다. 광역·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 내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보강, 자살고위험군인 자살유족 대상 24시간 밀착 지원 등 자살예방과 유족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권역별 감염병 전문병원 구축(칠곡경북대병원), 감염병 대응 시스템 구축·유지, 예방접종 인프라 등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분야에도 계속 관심을 기울일 계획이다.
외식·생활서비스산업 활력 회복을 위한 정책도 시행한다. 외식업소에 맞춤형 컨설팅 지원 확대, 외식창업 키워드림 아카데미 신설, 중소 식품제조·가공업소 신규시장 진출 및 유통망 확보 지원, 우수식품 지역인증제도 신설 등을 시행한다. 또 소규모 뷰티숍 이·미용 경영 및 기술지원 컨설팅을 지원해 업체의 자생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2022년은 코로나19로 지친 시민들의 건강한 일상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을 것”이라며 “시민들의 건강 격차를 해소하고 촘촘하고 탄탄한 공공보건의료 정책을 적재적소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