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한국 국민, 특히 청년 대부분은 중국을 싫어한다. 중국 사람들, 중국 청년 (역시) 대부분이 한국을 싫어한다”면서 문재인 정부의 ‘친중(親中) 정책’을 비판했다.
윤 후보는 28일 서울 영등포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진행된 주한미상공회의소(AMCHAM) 간담회에서 “현 정부가 굉장히 중국 편향적 정책을 써왔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윤 후보는 “한·미·일이 튼튼한 공조를 갖고 이에 기반해 중국을 상대할 때는 (양국 국민이) 서로가 호감을 갖고, 사업과 문화협력에 있어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양국 국민도 서로 굉장히 호의적인 마음을 가졌다”고 주장했다. 현 정부가 중국 편향적 정책을 쓰면서 결과가 나빠졌다는 것이다. 윤 후보는 “정부가 미·중 간의 중간자 역할을 한다고 했지만 결과는 나쁜 것으로 끝났다”고 했다.
윤 후보는 또 한국과 중국의 체제가 다르다는 점을 시사하면서 “어떤 국가든, 자기의 헌법 이념, 국가가 추구하는 가치가 서로 공통적인 국가들끼리는 안보라든가 이런 데서 비밀을 공유할 수 있다”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서로 간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는 가운데 서로 필요한 협력만 해나가면 된다”고 했다.
한일 관계에 대해서도 “한일 관계는 관계가 나빠진 게 아니라 (아예) 없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윤 후보는 “이 정부가 역사 이념 때문에 폭파시켰다고 할 정도로 국가간의 있을 수 없는 태도를 취하다보니 여기까지 왔다”며 “과거에 해왔던 대로 하면 어렵지 않게 정상화 될 것”이라고 생각을 전했다.
젠더 갈등을 어떻게 풀어갈 것이냐는 질문엔 “(남녀) 양측의 얘기를 잘 경청해서 가지고 있는 불만과 불안에 대해 하나씩 하나씩 풀어간다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윤 후보는 “현재 청년 세대의 젠더 갈등이 심각하다. 남성은 남성대로 정부의 정책 기조에 불만이 많고 여성은 여성대로 굉장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며 “(갈등을) 더 악화시키는 것이 우리 사회(에서) 아주 계속 지속되고 있는 저성장이다. 저성장 늪에서 탈출하고 청년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열리면 이 문제는 봄에 눈이 녹듯이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