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녘에 ‘전북 낙농단지-종자단지’ 조성 … 남북협력 사전승인

입력 2021-12-28 15:17
2017년 6월 무주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 초청된 북한태권도 시범단이 개막식에서 시범을 보이고 있다. 이 시범은 남북경색 상황에서 이후 평창동계올림픽 북한 참가로 이어지는 남북관계 개선 마중물 역할을 해왔다는 평을 받았다. 전북도 제공.

전북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이 북녘 땅에 낙농단지와 종자단지를 만들겠다는 사업안이 통일부 사전심의를 통과했다. 2007년 평양 근처에 돼지농장을 마련해 준 뒤 15년 만에 남북 교류사업이 재개될지 주목된다.

전북도는 전북도와 김제시가 각각 신청한 3개 사업이 최근 ‘2021년 남북교류협력사업 사전승인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통일부가 뽑은 10개 지자체 24개 사업 가운데 전북이 3개를 차지한 것으로 분야별로는 농업 2건, 축산 1건이다.

전북도에선 자원 순환형 낙농단지 조성사업과 벼 작목으로 특화된 종자단지 조성사업이 선정됐다. 전북도는 투자를, 북측은 운영을 맡고 그 생산품은 서로 분배하는 일종의 경협단지다. 김제시는 씨감자로 특화된 종자단지를 조성하겠다는 사업안이 통과됐다.

이 사업들은 앞으로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 북측과 접촉해 북측도 원할 경우 추진하게 된다.

한민희 전북도 대외협력국장은 “남북관계가 경색된 상황이지만 추후 교류 재개에 대비해 지자체 차원의 남북교류협력 강화방안을 모색하겠다”며 “장단기 실현 가능한 전북형 남북교류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도내 지자체와 교육청은 2004년부터 4년간 39억원대에 이르는 다양한 대북 지원사업을 펼쳐왔다.

전북도와 시·군은 2006년 황해남도 신천군에 전북산 농기계 570여 대를 지원하고 정비공장을 세워줬다. 2007년엔 평안남도 남포시에 남포·전북우리민족돼지공장을 짓고 돼지 260마리와 사료 150t 등을 보냈다. 도교육청은 전북산 종이 700t을 교과서 제작용으로 지원했다.

하지만 북핵 실험과 미사일 도발, 2008년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건, 2010년 천안함 사건 등이 이어지면서 대북 지원은 전면 중단됐다. 105억 원대에 달하는 도내 지자체들의 남북협력기금도 그대로 남겨졌다.

다만 2017년 무주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 북한태권도 시범단을 초청하여, 이후 평창 올림픽 북한 참가로 이어지는 남북관계 개선 마중물 역할을 했다.

이후 정부가 지난 4월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성과 특수성을 고려, 차별화‧간소화된 협력사업 사전승인제를 추진, 교류사업 재개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졌다.

이에 맞춰 전북 지자체들은 57건에 이르는 다양한 협력사업안을 준비해왔다. 2023새만금 세계잼버리대회를 겨냥한 남북 청소년 단일팀 구성, 전주 비빔밥과 평양 냉면을 주제로 한 남북 푸드축제 공동 개최, 지구 온난화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진안 인삼과 장수 사과 등 전북산 농특산품을 생산할 전용농장 조성 등이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