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졸 취업률이 65.1%를 나타내 조사 시작 이래 최저치를 나타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남성과 여성의 취업률 격차도 늘어나는 등 전반적인 지표가 악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교육부는 코로나19 여파로 분석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7일 ‘2020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대학과 일반대학원의 2019년 8월, 2020년 2월 졸업자 55만352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취업·진학 여부와 급여 수준, 취업 준비기간 등을 파악했다.
취업자는 31만2430명으로 취업대상자 48만149명의 65.1%였다. 이 조사가 시작된 2011년 이래 최저치로 전년도 67.1%보다 2.0% 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교육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해외 취업이 쉽지 않았으며, 1인 창업을 위해서는 경기가 안정돼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취업률 차이도 벌어졌다. 수도권 졸업자의 취업률은 66.8%로 비수도권 취업률인 63.9%보다 2.9% 포인트 높았다. 전년 격차인 2.7% 포인트보다 커졌다. 수도권 지역과 비수도권 지역의 취업률 차이는 2017년 2.1% 포인트, 2018년 2.2% 포인트 등으로 매년 커지고 있다.
성별 격차도 확대됐다. 지난해 남성 졸업자의 취업률은 67.1%, 여성 졸업자는 63.1%로 4.0% 포인트 차이였다. 남녀 취업률의 차이는 2017년 3.0% 포인트, 2018년 3.6% 포인트, 2019년 3.8% 포인트로 확대되고 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