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이후 경영난이 악화하면서 부산의 숙박·음식점 업체 10곳 중 5~6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지 못하는 ‘한계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이란 외부의 자금 지원 없이는 경영정상화가 어려운 기업으로,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도 못 갚는 상황이 3년 연속 이어진 기업을 일컫는다.
부산연구원 경제동향분석센터는 외부감사 대상 비금융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계기업의 비중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7일 밝혔다.
부산의 전체 기업 가운데 한계기업은 지난해 기준 19.0%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업의 한계기업 비중이 지난해 52.9%를 기록하면서 가장 높았다. 2019년 47.1%보다 5.8%P 상승하면서 절반 이상이 한계기업에 들어간 셈이다. 숙박·음식업의 연도별 이자보상배율 취약 기업도 많이 증가해 지난해 89.7%를 기록했다. 숙박업소 및 음식점 대부분이 이자 상환 능력이 없을 만큼 경영이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한계기업도 2019년 12.7%에서 2020년 15.1%로 늘었고, 도매 및 소매업은 2019년 9.5%에서 2020년 11.3%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운수업 한계기업은 2019년 17.9%에서 2020년 22.1%로, 부동산 및 임대업은 2019년 25.2%에서 2020년 29.9%로 늘었다. 건설업도 2019년 10.7%에서 2020년 16.0%로 많이 증가했다.
이미정 분석위원은 “한계기업 비중이 큰 업종을 중심으로 원금상환 유예 연장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며 “회생 가능성이 없는 기업들의 자연스러운 퇴출을 유도하는 등 단계적 구조조정도 필요하다”고 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