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번 주 코로나19 유행 증가세를 살펴보고 오는 31일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 여부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연말연시 방역 상황을 점검한 뒤 거리두기를 연장할지, 단계적 일상회복을 다시 추진할지 결정한다는 것이다. 코로나19 확산세가 꺾이는 조짐이 나타나는 가운데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16일간의 시행 기간이 끝난 이후에도 계속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단계적 일상회복을 잠시 멈춘 지 열흘째”라며 “이번 주 사회적 거리두기의 연장 여부에 대해 일상회복지원위원회와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오는 31일 연장 여부를 확정 지을 계획이다.
현재 방역조치는 오는 1월 2일까지로 예정돼 있다. 정부는 지난 18일부터 전국의 사적모임 허용 인원을 4명 이하로 제한하고, 식당·카페 등의 영업시간을 오후 9시까지만 허용하는 등의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했다.
유행 확산세는 확실히 둔화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방역 당국은 지난 18일부터 시행한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전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5419명으로 1주일 전인 19일(6233명)보다 814명 적다. 2주일 전인 12일(6683명)과 비교하면 1264명 감소했다.
정부는 이번 고강도 거리두기를 적용하기에 앞서 지난 6일부터 사적모임 인원을 수도권 6명·비수도권 8명으로 제한하는 등의 방역조치를 시행한 바 있다. 전국 사적모임 인원을 4명으로 제한하는 고강도 거리두기에 들어간 지도 1주일이 지났고, 3차 접종률도 30%에 근접할 정도(26일 0시 기준 29.6%)로 높아져 코로나19 유행 규모가 더 줄어들 수 있다는 낙관적인 전망도 곳곳에서 나온다.
다만 확진자 수 증가세가 둔화됐음에도 위중증 환자 수와 중증 병상 가동률 지표는 아직 개선되지 않았다. 위중증 환자는 지난 21일부터 엿새 연속 1000명 이상의 규모를 기록했다. 중증 병상 가동률은 지난 25일 오후 5시 기준 전국 77.7%, 수도권 82.5%다. 중증 병상은 80% 이상이면 포화상태로 여겨진다.
정부는 전체 확진자 규모 감소가 위중증 환자 감소로 나타나기까지 4∼5일의 시차가 있다고 설명한다. 이에 따라 이번 주에는 위중증 환자 증가세도 꺾일 가능성이 있다. 그래도 약 한 달 사이에 600명대에서 1000명대로 급증한 위중증 환자 수가 단기간에 크게 줄어들기는 쉽지 않다는 시각도 만만찮다. 이번 주가 2021년의 마지막 날과 2022년의 첫날이 포함돼 있어 연말연시 모임이 활발히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도 부담 요인으로 지목된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