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 중 자녀가 없는 비율이 67만명에서 139만명으로 10년 전의 약 2배 수준으로 늘었다.
24일 통계청이 발간한 '통계 플러스-저출산 시대, 기혼여성 해석하기'에 따르면 기혼여성 중 무자녀 여성의 비중이 2010년 4.4%(67만명)에서 2020년 8.4%(139만명)로 4.0%포인트 늘었다고 밝혔다. 이런 변화는 2010년과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조사를 비교하면서 나타났다.
기혼여성의 출산율은 2010년 96.0%에서 2020년 91.6%로 10년간 4.4%포인트 감소했다. 기혼여성 중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의 비율은 출생연도에 따라 나눠보면, 1970년생 94.3% 1980년생 90.0%, 1990년생 56.5%, 1995년생 57.1% 등이었다. 집필진은 “10년간 모든 연령층에서 출산율이 하락했는데 특히 20·30대의 출산율 하락세가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집필진은 저출산의 원인으로 가임여성 인구의 감소, 비혼 증가, 기혼여성 출산율의 하락 등 세 가지를 꼽았다. 출산율 하락에는 출산을 미루거나 자발적으로 무자녀를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초혼연령이 높아지면서 난임과 불임이 증가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기준으로 1980∼1984년생의 기혼여성 출산율을 보면, 25세 14.8%, 30세 59.9% 등이었다. 10명 중 4명은 30세에도 미출산 상태였단 뜻이다. 1950∼1954년생 기혼여성의 출산율이 25세 69.5%, 30세 92.2% 등이었던 것과 비교해 보면 크게 줄어든 것이다.
집필진은 “젊은 기혼여성일수록 출산율이 낮은 것은 혼인 연령 상승 및 출산 시기의 지연, 무자녀 가구의 증가가 원인”이라며 “결혼과 출산의 선택에는 객관적 상황뿐만 아니라 결혼과 자녀에 대한 가치관, 태도가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풀이했다.
201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15∼49세 무자녀 기혼여성 가운데 43.3%는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고 응답했다. 꼭 있어야 한다는 응답은 24.2%였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