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이 지구의 대류권에서도 떠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류권은 대기권의 가장 아래층으로 그 위로는 성층권이 위치한다.
AFP통신은 미세플라스틱이 대류권에서도 검출된다는 연구 결과를 담은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의 논문을 지난 21일(현지시간) 소개했다.
미세플라스틱은 포장, 의복, 차량 등에서 발생하는 5㎜ 미만의 작은 플라스틱 파편으로 물이나 공기에서도 검출된다. 특히 미세플라스틱은 지구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 산이나 가장 깊은 해저인 마리아나 해구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지구 대류권에도 미세플라스틱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CNRS의 과학자들은 소위 ‘청정 관측소'라고 불리는 프랑스 피레네산맥의 피크 뒤 미디(Pic du Midi) 관측소에서 해발 2877m의 공기를 채취해 분석했다. 이들은 2017년 6월부터 10월까지 매주 1만㎥의 공기를 테스트했고, 그 결과 채취한 모든 공기 샘플에 미세플라스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어 기상데이터를 분석, 미세플라스틱을 함유한 기단이 멀게는 북미에서부터 왔다고 전했다. 해당 논문의 저자 스티브 앨런 캐나다 댈하우지대 교수는 “대류권에 도달했다는 것은 고속도로를 탄 것과 같은 의미”라며 “미세 플라스틱이 (대류권과 같이) 높은 고도에 도달했기 때문에 이렇게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피크 뒤 미디 관측소에서 모은 공기샘플에 함유된 미세플라스틱은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줄 만큼 양이 많지는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논문의 공동저자 디오니 앨런은 “오염물질로부터 보호되고 있다고 생각되는 지역에서마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는 것은 우리에게 생각거리를 준다”며 “전 세계적으로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플라스틱을 해외에 보내 처분하는 것은 잘못된 전략이라며 “결국 다시 우리에게로 돌아오게 돼 있다”고 지적했다.
한제경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