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이라고 다 같은 앱이 아니다. 윤석열 후보는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인공지능 앱을 말한 것이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앱으로 구인구직 정보를 얻을 때가 온 것 같다”는 발언으로 여권의 공세에 몰리자 국민의힘 중앙선대위가 23일 내놓은 해명이다.
국민의힘 선대위 공보국은 이날 “지금도 이른바 ‘구직앱’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 구동되는 앱에는 아직 일자리 데이터가 통합되어 있거나 구인구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동기화되고 있지 않다”며 “실업 급여를 신청한 사람의 구직 희망 직종이 분석되어 자동으로 일자리가 매칭되는 것이 윤 후보가 말한 앱 로드맵”이라고 밝혔다.
공보국은 “윤석열 후보는 이러한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맞는 인공지능 앱을 말하려던 것”이라며 “여권 인사들은 현재 가동되는 앱을 이해할 뿐, 윤 후보의 ‘미래 앱’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반박했다.
이어 “십년 전에도 가상공간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가상공간인 메타버스와는 차원이 달랐다”며 “구직앱은 빅데이터와 이를 처리할 기술력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제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고, 단순한 자료를 모아놓은 수준의 앱으로는 AI 방식으로 일자리 매칭은 어렵다”고 강조했다.
공보국은 더불어민주당에서 “교차로 보던 시대에 사느냐”는 비판이 나온 데 대해서는 “‘교차로’식 사고는 문제를 제기하는 여당 측 인사들의 전유물”이라고 받아쳤다.
그러면서 “윤석열 후보의 ‘미래 앱’은 일자리 데이터가 통합되어 있고 데이터가 실시간 동기화되는, 실업 급여를 신청한 사람의 구직 희망 직종이 분석되어 자동으로 일자리가 매칭되는 앱”이라며 “소망이 현실화되는 기회의 사다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윤 후보는 지난 22일 전북대 학생들과의 ‘타운홀 미팅’에서 청년 실업 문제에 대한 질문을 받은 뒤 답변하면서 “조금 더 발전하면 학생들 휴대전화로 앱을 깔면 어느 기업이 지금 어떤 종류의 사람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실시간 정보로 얻을 수 있을 때가, 아마 여기 1·2학년 학생이 있다면 졸업하기 전에 생길 거 같다”고 발언했다.
이에 민주당에서는 “교차로로 채용공고 보던 시대에 사느냐” “타임머신을 타고 온 사람이 아니면 하기 어려운 발언”이라는 등의 비판이 나온 바 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