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 긴급멈춤’의 직격탄을 맞은 자영업자들이 정부의 방역대책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단체행동을 감행했다. 거리로 나선 자영업자들은 영업시간 제한, 사적모임 인원 축소 같은 정부 방역대책이 자영업자만을 타깃으로 한 규제라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철회를 요구했다.
다만 ‘방역수칙 보이콧 선언’은 나오지 않았다. 방역 수칙상 집회 최대 인원(299명)에 다다르자 경찰이 집회 장소를 봉쇄해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
소상공인연합회와 한국인터넷피씨카페협동조합 등 자영업자 단체들은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시민열린마당에서 총궐기 집회를 개최했다. 이들은 방역지침상 집회 최대 허가 인원에 맞춰 299명 규모의 집회를 열겠다고 지난 17일 신고했다. 이날 주최 측은 코로나 확산 우려를 감안해 집회 참석자를 대상으로 방역패스(접종완료·음성확인서)를 개별적으로 확인한 후 명부 작성 및 체온 측정을 했다.
이날 집회에는 299명(주최 측 및 종로구 공동추산)이 참석해 허가 인원을 꽉 채웠다. 허용된 규모가 채워지자 경찰은 집회장소 주변에 철제 울타리를 설치해 추가 진입을 막았다. 경찰에 가로막힌 자영업자들은 “들어갈 수 있게 해달라”며 경찰에 항의했다. 이들은 구호를 외치며 몸으로 울타리를 미는 등 경찰과 실랑이도 벌였다.
경찰은 사전 신고 인원보다 더 많은 사람이 몰려 불법 집회로 변질될 가능성에 대비해 17개 부대와 대화경찰 60여명을 배치했다. 대화경찰은 시위대와 경찰 간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경찰이다.
집회에 참여한 자영업자들은 정부의 강력한 방역정책 시행 취지에 공감하면서도 자영업자만을 규제하는 것은 실효성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충북 제천에서 피씨방을 운영하는 자영업자 김모(50)씨는 “자영업자도 정부의 방역정책이 성공해 코로나 확산세가 하루빨리 멈춰 영업이 정상화되길 바란다”며 “하지만 방역정책은 언제나 자영업자를 규제하는 데만 초점이 맞춰지고 있어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인천 서구에서 일본식 선술집을 운영하는 자영업자 김모(41)씨도 “영업시간이 오후 9시까지 제한되면서 매출액이 최근 며칠간 0원으로 떨어졌다”며 “업종별로 영업시간이 모두 다른데 이를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규제를 가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자영업자 단체는 방역패스 과태료 철회 등도 주장했다. 오세희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자영업자들의 대출이 지난해 748조에서 올해 9월 기준 900조원으로 늘어날 정도로 생활고를 겪고 있다”면서 “방역패스 과태료 방침을 철회하고 야간 영업이 필요한 업종에 대한 대안책을 마련해야만 한다”고 요구했다.
여권에서 자영업자들을 달래는 모습도 있었다. 이성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무대에 올라 “민주당 내부에서도 자영업자 지원하는 역할을 못한 점 비판하며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면서 “방역대책으로 피해를 본 자영업자들이 재기할 방안을 마련토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