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달 초까지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하자 이에 반발한 자영업자들이 서울 도심에서 총궐기에 돌입했다. 경찰은 혹시 모를 충돌을 막고자 17개 부대를 투입해 대응에 나섰다.
피시방업계와 호프업계, 공간대여업계들이 모인 코로나19 대응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22일 오후 3시부터 서울 종로구 광화문 시민열린마당에서 총궐기를 시작했다. 오후 2시쯤 무대차량 설치를 시작했으며 시위는 오후 5시까지 진행될 계획이다.
조지현 비대위 공동 대표는 “가능한 방역법을 지키고 코로나19 전파 위험도를 낮추고 싶지만 자영업자들의 요구를 직접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시위에 나서게 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2년 동안 우리는 약속을 지켰고 정부는 약속을 저버렸다.’, ‘협조하면 빛 볼 줄 알았거늘 어찌 빚만 보이는가’, ‘이젠 무슨 돈으로 버텨야 합니까’, ‘매출 규모 상관없이 손실 보상하여라’ 등의 메시지가 적힌 팻말을 들고 구호를 제창했다.
비대위는 ▲방역패스 철폐 ▲영업제한 철폐 ▲근로기준법 5인 미만 사업장 확대 철회 ▲온전한 손실보전을 촉구했다.
원희룡 전 제주지사와 이성만 더불어민주당 의원, 류호정 정의당 의원 등 일부 정계 인사들도 격려차 시위에 참석했다. 전국 각지의 자영업자들이 응원의 뜻으로 보낸 음료수와 핫팩 등도 확인됐다.
비대위는 정부 방역지침에 맞춰 299명 규모의 집회를 경찰에 사전 신고했으나 실제 참석 규모는 이보다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자영업자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 등 온라인을 통해 전국 각 곳의 자영업자들에게 참여를 독려해왔다.
정부는 자영업자 차량 시위를 불법 집회로 규정하고 원칙적 대응 방침을 예고했다. 앞서 이날 집회에 대해 최관호 서울경찰청장은 지난 20일 “집회 허용 인원 299명을 초과하는 경우 해산 조치나 주동자 사법처리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