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판 트위터 웨이보가 저속한 단어가 들어간 사용자 아이디를 퇴출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5억여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웨이보는 중국 누리꾼들의 주요 소통의 장이다.
2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보도에 따르면 웨이보는 지난 19일 “저속한 단어가 사용된 사용자 아이디를 용인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웨이보는 그 예로 부랑자, 떠돌이라는 뜻의 ‘볘싼’(瘪三), 외양과 행동이 여성스러운 남자를 뜻하는 ‘냥파오’(娘炮), 바보같은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인 ‘얼훠’(二货) 와 같은 단어를 들었다. 이런 단어가 포함된 아이디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웨이보는 실제 저급한 단어가 포함된 아이디를 쓰던 다수의 이용자에 대해 아이디를 바꿔달라며 아이디를 바꾸지 않을 경우 웨이보 측에서 나설 것이라고 공지했다. 웨이보는 사용자 아이디뿐만 아니라 “계정 개인 프로필 내용이나 사진에서 저급한 단어들이 사용되고 있는지도 살필 것”이라고 밝혔다.
SCMP는 “20일 현재 웨이보 게시글에서는 여전히 해당 단어들이 검색되지만, 해당 단어가 들어간 사용자 아이디는 검색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이러한 웨이보의 단속 작업은 중국 당국이 IT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대대적인 인터넷 콘텐츠 정화 작업에 나선 가운데 나온 조치다.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은 이달 초 오용되거나 핵심 사회주의 가치를 홍보하지 못한 2만여 개의 영향력 있는 계정을 폐쇄하거나 정지시켰다고 발표했다. 또 ‘웨탄(約談)’ 형식으로 중국 내 미디어 기업들을 질책하는 경우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 ‘웨탄’은 정부 기관이 감독 대상 업체나 기관을 공개적으로 불러 질타하고 시정을 요구하는 일종의 ‘군기 잡기’이다.
베이징시 인터넷정보판공실은 최근 법이 금지한 정보의 유통을 방치했다며 웨이보 관계자를 웨탄 형식으로 불러들여 300만 위안(약 5억6천만 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웨이보 계정 사용자가 외설물을 올려 유포한 사례가 발각됐고, 광고 글을 일반 게시글처럼 꾸며 여러 계정을 통해 동시다발적으로 올린 것을 웨이보가 제대로 단속하지 않았다는 이유였다.
인기 드라마 정보 플랫폼 더우반(豆瓣)에도 정보 불법 유통을 이유로 150만 위안(약 2억8000만원)의 벌금이 내려졌다. 지식검색 사이트인 즈후(知乎) 책임자 역시 웨탄 형식으로 불려가 정보의 불법유통을 즉각 시정할 것을 지시받았다.
지난 9일에는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개인정보 과다 수집 등의 문제를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했으나 기한 내에 시정이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더우반 등 106개 앱을 자국 내 모든 앱 장터에서 내리도록 명령하기도 했다.
천현정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