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2일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에 대한 특검 실시와 관련해 “이미 (특검법 발의를) 요청했다. 여야 협의를 통해서 해야 할 것”이라고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대장동 개발사업 실무를 맡았던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사업1처장이 전날 숨진 것에 대해선 침묵을 이어갔다.
이 후보는 이날 한국여기자협회 창립 60주년 기념식이 끝난 뒤 김 처장 사망과 관련해 “실체를 명확하게 밝히고 상응하는 책임을 서로 부담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후보는 ‘김 처장 사망과 관련해 메시지를 내느냐’는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원희룡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정책총괄본부장은 전날 ‘김진국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진상을 파헤치려 한 여파인 듯하다’, ‘필요하다면 성명불상자(이재명 측 인사)를 피고발인으로 자살교사 또는 자살방조죄로 고발하겠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이에 대해 “특별히 언급할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평가절하했다.
야권은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으로 검찰 조사를 받은 인물들이 연이어 숨지자 검찰을 항의 방문했다. 김진태 국민의힘 이재명비리 국민검증특별위원장은 서울중앙지검을 찾아 “김 처장은 초과이익 환수조항 삭제 지시에 대해 말해줄 핵심 인물이었다”며 “검찰은 아직도 이재명 후보를 조사하지도 않았다. 특검을 도입하고 부검을 통해 다시는 이런 불행한 사태가 없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김 처장은 전날 오후 8시30분쯤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성남도시개발공사 내 자신의 집무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현재까지 범죄 혐의점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김 처장은 올해 초까지 대장동 개발 실무 책임을 맡았으며 특혜 의혹 핵심으로 구속 기소된 유동규 전 기획본부장의 측근으로 꼽힌다. 최근 공사 공모사업 지침서와 사업협약서에 초과이익 환수 조항을 넣지 않은 배경을 두고 검찰 수사를 받아왔다.
한편 이 후보는 한국여성기자협회 창립 60주년 기념사를 통해 “민주 국가에서 국민의 정확한 판단이 중요한 데 이는 정확한 정보에서 나오고 결국 정론직필 언론으로부터 나온다”며 “언론의 사명 잘 기억하실 것 같고 자유와 그에 상응하는 책임도 잘 고려해주실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