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코로나19 중환자실 가동률이 90%를 향해가는 등 상승 압박이 지속되자 정부가 공공의료와 군을 투입해 병상 확보 총력전에 나섰다. 다음달 2일까지 강력한 거리두기 조치를 통해 확진자 증가를 억제하고, 이렇게 번 시간 동안 고장난 의료대응시스템을 정상화하는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현장에서는 병상만이 아닌 인력도 대폭 확충돼야 ‘특단의 조치’가 효과를 볼 수 있을 거란 목소리가 크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한 병상 확충 관련 지시사항’을 통해 “코로나 병상 확보는 전적으로 정부의 책임”이라며 “지금까지 진행해온 병상 확충 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면서 특단의 조치를 통해 의료 대응 역량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공공부문 의료인력을 코로나 환자 진료에 최대한 투입해 주기 바란다”며 “최소한의 필요 인력을 제외한 코로나 진료 관련 전문의 군의관과 공중보건의를 코로나 중증 환자를 진료하는 병원에 배치해 달라”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내년 2월 말부터 임용훈련을 하는 신입 군의관과 공중보건의도 코로나 진료에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강조했다.
이날 지시는 중환자실 병상 부족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면 일상회복 조치도 재개할 수 없다는 위기감에서 나온 것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가 평가한 이달 셋째 주(12월 12∼18일) 전국 코로나19 위험도는 ‘매우 높음’으로 4주 연속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수도권 중환자실 병상은 전주 84.9%에서 셋째 주 86.5%까지 들어찼다.
전날 오후 5시 기준 가동률은 87.8%로 90%에 육박했다. 같은 기간 의료대응역량 대비 환자 발생 비율도 수도권은 127.5%에서 141.9%로, 비수도권은 77.7%에서 92.5%로 뛰어올랐다. 방대본은 “수도권에서 의료대응역량 초과가 지속하고 있고 비수도권에서도 한계가 임박했다”고 진단했다.
다만 방역당국은 현 상황이 5차 유행으로 넘어간 단계는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4차 유행에 이어 환자가 증가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현 상황을 5차 유행으로 부르는 것은 맞지 않고, 4차 유행이 연장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장 의료진들은 정부가 내놓은 특단의 대책에도 불구하고 인력 확충이 동반되지 않으면 효과를 끌어올리기 어렵다고 본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정부가 ‘일상회복 멈춤’ 기간 동안 시행할 병상 확보 방안은 내놨지만, 의료대응역량 강화의 핵심인 의료인력 확충 대책은 아예 빠져있다”고 지적했다. 홍수정 보건의료노조 전북대병원지부장은 “화장실에 가지도, 물 한 잔 마시지도 못하면서 9∼10시간씩 환자를 간호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확진자는 5318명으로 집계됐다. 오미크론 변이 추가감염자는 나오지 않아 누적 178명을 유지했다. 주간 감염재생산지수는 전국 1.15로 전주(1.23) 대비 줄었지만 여전히 1을 넘겼다.
박장군 박세환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