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여야 정치권의 협치로 부산의 12개 장기 표류과제가 사업에 속도를 내거나 방향성을 찾아 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박형준 부산시장과 신상해 부산시의회 의장은 20일 부산시청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실무 추진단 회의 등을 거쳐 12개 과제 가운데 8개는 추진 방향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부산시와 시의회,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부산시당은 지난 5월 전국 최초의 여야정 상생협의체 구성 협약을 체결하고 장기 표류과제 해결 방안을 모색해 왔다.
먼저 다대소각장 부지는 문화복합 휴양시설로 개발하고, 부산시청 앞 행복주택 건설은 당초 계획대로 청년주택 1800가구를 공급하기로 하고 연내 공사를 재개한다.
파산한 침례병원의 공공병원화는 내년에 499억원을 들여 병원 부지를 매수하고 보험자병원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옛 한진CY 부지 개발사업은 부산시 제1호 사전협상 완료 사업으로 추진, 부산시가 준공업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를 변경해주는 대신 사업자가 2800억원 규모로 공공기여를 하는 방안이 최근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
사직야구장 재건축은 내년에 3억원을 들여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하기로 했고, 부전도서관 공공개발도 부산진구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정밀 안전진단부터 하기로 했다.
해상관광 케이블카 조성사업은 전문기관의 객관적인 검증과 분석을 위해 타당성 조사를 진행키로 했다.
대저대교(식만~사상) 건설 방향에 대해서는 환경단체를 포함한 민관 라운드 테이블을 구성해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황령산 스노우캐슬과 공공지원 민간임대 주택사업 사업추진을 위한 필수 행정절차가 이행 중이다.
청사포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용역으로 주민 수용성 가이드라인이 마련되면 추진 방향을 정하기로 했다.
주민, 사업자, 중앙부처 등 이해관계자의 추가 협의가 필요한 2가지 과제 중 부산외대 이전적지 공영개발과 청사포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사업은 각각 공공성 확보와 주민 수용성 기준 마련을 추진 중이다. 시는 가이드라인이 마련되는 대로 신속히 추진 방향을 확정할 예정이다.
신 의장은 “이번 장기 표류과제 추진을 통해 정치적 지향점이 다르지만 '부산발전' 의제에 한해서는 얼마든지 전면적 협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경계와 분야를 초월한 협력으로 해묵은 갈등 해소뿐만 아니라 부산발전과 시민 행복 실현의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