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 취약계층 보호 등을 통해 올해 보건복지분야 관련 상을 휩쓴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1월 대전의료원 설립 사업의 예타가 면제된데 이어 지난달에는 KDI 사업계획 적정성 계획 검토를 통과했다. 시는 대전의료원을 통해 코로나19 등 국가적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공공의료안전망 기능을 갖추겠다는 계획이다.
국내 최초 중증장애아동을 위한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현재 공정률 17%를 기록하고 있으며, 치매전문병상은 기존 78병상에서 198병상으로 확대했다.
또 기존 복지재단의 기능을 확대한 ‘대전사회서비스원’이 출범했으며 지역 거점 복지관의 비대면 기능을 보강해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방역을 추진했다.
시는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저지 및 코로나 우울 심리치료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했다.
지역 내 선별진료소 9곳을 운영하고 감염병 전담병원을 333병상으로 확충하는 한편 전 시민 백신접종률은 80%(2차 완료 115만명)를 기록했다. 코로나 우울 심리치료는 13만여건을 지원하고 ‘찾아가는 마음톡톡버스’는 60차례 운영했다.
이와 함께 취약계층 7만2000여명에게는 생계급여 약 1400억원을 지급하는 한편 어르신 14만4000여명에게 기초연금 3342억원을 지원했다. 노인·장애인·자활근로자 등 고용취약 계층에게도 복지일자리 3만4000여개를 제공했다.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3200여 명에게는 유급병가를, 300여 명에게는 가족수당을 각각 지급했다.
내년에는 아동급식지원사업을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6000원인 아동급식카드 단가는 8000원으로 인상해 음식값 반영을 현실화하고, 1만2000원인 1일 결제 한도는 3만원으로 증액한다.
이밖에 아동급식카드 가맹점을 대폭 확대하고 생후 36개월까지의 영·유아에게는 매달 30만 원씩 양육기본수당을 지급한다.
이 같은 성과에 힘입어 시는 올해 지역사회보장계획 관련 광역단위 3년 연속 대상을 비롯해 7개 분야에서 상을 수상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내년에는 아동급식단가 현실화를 비롯해 대전형 지역사회 통합돌봄사업을 전 자치구에서 운영하겠다”며 “대전의료원, 공공어린이재활병원 등 공공의료복지 인프라 구축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해 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