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 세계에서 사용 중인 대부분의 코로나19 백신이 신종 변이인 오미크론의 감염을 막아내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화이자와 모더나가 개발한 mRNA 백신을 추가 접종하는 경우에만 감염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타임스는 19일(현지시간) “최근 연구들을 살펴보면 아스트라제네카·얀센·시노백·시노팜 등 백신이 오미크론 변이 감염을 거의 또는 전혀 막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mRNA 방식으로 제조된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의 경우 3차 추가접종까지 완료한 경우만 오미크론 변이에 방어력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영국에서 실시한 예비 효과 연구를 인용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백신 접종 후 6개월이 지나면 오미크론 감염을 막을 수 있는 능력이 없다고 전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인도 접종자의 90%가 맞은 백신이다. 아프리카 전역에서도 널리 사용됐다.
특히 전 세계 보급된 백신 중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의 시노팜과 시노백 백신은 오미크론 변이 감염으로부터 아무런 보호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백신은 중국뿐 아니라 멕시코, 브라질 등에서 널리 사용됐다.
연구진은 아프리카와 중남미에서 사용되고 있는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백신도 오미크론에 무용지물일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코로나19 백신 주요 목표 중 하나인 중증화 예방에 있어서는 기존 백신들 모두 상당한 수준의 보호를 제공한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백신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결과에 앞으로 개발도상국에서의 백신 접종 수요가 위축될 수 있다”면서도 “모든 종류 백신이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중증화는 막아주는 것으로 보인다. 중증화 예방을 백신 접종의 주목적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