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 연안의 평균 해수면이 지난 30년간 평균 9.1㎝ 상승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평균 해수면은 매년 3.03㎜씩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10년의 상승 속도는 1990년대보다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30년 이상 관측 자료가 축적된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 자료를 분석해 이같은 장기 해수면 변동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20일 발표했다. 조사원은 데이터 처리 방식을 개선·적용한 자료를 토대로 1991년부터 지난해까지 21개 조위관측소의 상승률을 계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지난 30년간 우리나라 해수면은 매년 3.03㎜씩 높아졌다. 동해안이 연 3.71㎜로 가장 높았고, 서해안은 연 3.07㎜씩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남해안의 경우 연 2.61㎜씩 높아졌다.
관측지점별로 살펴보면 울릉도가 연 6.17㎜로 가장 높았다. 이어 포항(3.99㎜)과 보령(3.38㎜), 인천(3.31㎜), 속초(3.17㎜) 등이 상위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 10년간 연안 평균 해수면 상승 속도는 과거에 비해 빨라진 것으로 분석됐다. 해수면은 1991~2000년 연 3.80㎜씩, 2001~2010년 연 0.13㎜씩 높아졌는데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는 연 4.27㎜씩 높아졌다.
정태성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지금과 같은 기후 위기에 연안의 선제적 관리와 대응을 위해서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현황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장기 전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해수면 자료 분석과 더불어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SSPs)에 따른 미래 해수면 변동 전망에 대한 연구를 적극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조사원은 내년 상반기 21개 조위관측소의 30년 이상 연평균 해수면 자료와 분석 정보를 누리집(바다누리 해양정보)을 통해 제공할 계획이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