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넘치는 대구…조정대상지역 해제 요구 거세

입력 2021-12-20 11:01
국민DB

대구에서 주택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는 등 부동산 시장 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지역 정치권까지 나서 조정대상지역 해제를 촉구하는 실정이다.

20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지역 주택 미분양 물량은 8월 기준 2365개, 9월 2093개, 10월 1933개, 11월 2177개로 전국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12월 달성군 일부 지역을 제외한 대구시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한 후 공급이 많은 대구에서 미분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또 강력한 부동산 규제 정책 등이 더해져 집값 하락 등 침체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달부터 대구 전 지역에서 집값 상승세가 꺾이고 거래절벽이 심화되는 등 급격한 주택시장 침체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 아파트가격은 1년 6개월 만에 하락(-0.07%) 전환했고 12월 첫째 주도 0.03% 내림세를 이어갔다. 3개월 간 분양권 전매량이 전년 동기대기 73% 감소했고 청약경쟁률도 저조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역에서 조정대상지역 해제 요구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대구 미분양 물량의 64%가 몰려 있는 동구는 미분양관리지역 지정이 시급한 상황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지역 정치권도 나서고 있다. 추경호 국민의힘 대구시당위원장(달성군) 등 국민의힘 대구지역 국회의원들이 대구시 조정대상지역 지정 해제를 요구하는 공동 건의서를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전달했다. 지역 국회의원들은 대구시의 3개월 간 주택가격상승률(0.5)이 물가상승률(1.416)의 1.3배(1.841)를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조정대상지역 지정 공통요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대구의 아파트 미분양은 전국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으로 대구는 조정대상지역 지정 이후 투기수요 억제와 매매 심리 위축으로 이미 가격조정 효과가 충분히 발생했다”며 “오히려 구축시장, 외곽지역 주택시장이 위축되고 미분양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까지 나타나고 있는 점을 헤아려 대구 전역에 내려진 조정대상지역 지정을 해제할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