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고 안전한 먹 거리와 향토 음식 문화를 접목한 농가 맛집 특화 밥상 드시러 경북으로 오세요”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20일 안동 그랜드호텔에서 ‘농가 맛집 특화 밥상 프로젝트’ 품평회를 열고 지역의 다양한 특산물을 활용해 1시·군 1특화 밥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 맛집을 활성화하기 위해 ‘경북형 민생 기(氣)살리기’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지역 내 시·군 지역에서 생산되는 신선하고 안전한 식 재료를 담은 특화 밥상 23종과 간편 조리 세트(밀키트) 및 도시락 49종도 함께 개발했다.
특히 작물 이름만 들어도 지역이 떠오르는 부추, 마늘, 해방풍 등을 적극 활용했으며 농촌진흥청이 육성한 홍산 마늘, 주 식 재료로 활용하기 쉽지 않은 참외 등도 특화 밥상에 담아냈다.
또 지역 별 특화된 식 재료를 활용해 탄생한 특화 밥상 개발 스토리와 고향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농가 맛집 이야기를 수록한 책자 ‘한 상에 차려 담다’도 함께 전시했다.
기업생멸행정통계(2019)에 따르면 숙박·음식점업의 5년 생존율은 20.5%로 나타났으나 지역 농가 맛집의 창업 후 운영율은 80.5%에 달한다.
이는 지역에서 생산하는 농산물을 사용해 소비자들로부터 건강과 안전, 농촌의 정서를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농가 맛집은 지역 향토 음식을 발굴해 상품화하고 이를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조성하고 있는 농가형 외식 문화 공간으로 경북도내 25개소가 운영 중이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로 70% 이상의 농가 맛집이 영업을 중단했고 매출도 55% 이상 급감하는 등 큰 타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지역을 대표하는 제철 농산물로 만든 특화 밥상을 현지에서 맛보고 경험하기를 바란다”며 “특화 밥상으로 농가 맛집이 더욱 활성화되고 농촌 관광과 연계해 찾아오는 경북, 머무르는 경북을 만드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