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킹 피해자 10명 중 8명은 경찰을 신뢰하지 못해 피해 당시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이수정 경기대 교수 연구팀이 국회에 제출한 ‘스토킹 방지 입법 정책 연구’ 보고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스토킹 피해자 256명 중 206명(80.5%)은 경찰에 신고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별다른 조치를 취해줄 것 같지 않아서’(27.6%), ‘사소한 일이라 생각돼서’(22.8%), ‘경찰이 심각하게 여기지 않을 것 같아서’(18.9%), ‘과거에 신고했을 때 소용이 없어서’(6.3%) 등을 이유로 꼽았다. ‘법적으로 처벌할 수 있는 문제인지 몰라서’라는 답변도 5.8%였다.
연구팀은 “경찰에 대한 불신에 더해 피해자 자신도 스토킹 피해를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스토킹 피해 신고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도 19.4%에 그쳤다. 불만족 이유로는 ‘경찰이 내 사건을 잘 이해하지 못했다’, ‘가해자 말만 믿고 연인 사이나 친밀한 관계에서의 문제라고 여기며 가볍게 취급했다’, ‘경찰이 2차 가해를 했다’ 등이 언급됐다.
경찰 신고가 스토킹을 막는 데 효과가 있었냐는 질문엔 ‘없었다’(69.5%)는 답변이 ‘있었다’(30.5%) 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