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코로나19 사태 대응의 초점을 확진자 수에서 중증 환자 수로 전환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보도가 나왔다. 코로나19의 겨울철 재확산이 본격화한 가운데 전염성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까지 출현해 확진자가 치솟을 것이 확실한 상황에서 대중에게 전달되는 메시지의 초점을 옮기려 한다는 것이다.
18일(현지시간) CNN 방송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의 일부 참모들은 사실상 종식이 불가능한 코로나19와 공존할 방법에 관한 논의를 시작했다. ‘코로나바이러스로부터의 해방’을 선전했던 그간의 메시지 기조에서 선회했다고도 볼 수 있다.
행정부 관리들은 오미크론 변이가 미국 전역을 휩쓸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하비어 베세라 보건복지부 장관은 최근 “우리는 이제 중증도가 문제가 되는 단계에 이르렀다. 문제는 확진자가 아니라 중증도”라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최근 백악관 코로나19 대응팀의 회의에서도 같은 문제가 제기됐다고 전했다. 다만 베세라 장관은 “중증이라는 게 무엇을 뜻하며 중증의 기준에 들지 않기 위해선 사람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CNN은 확진자 수에서 중증 환자 수로 대중의 관심을 돌리기까지 험난한 과정을 거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2년간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확산과 완화를 가르는 기준으로 확진자 수가 선택돼 왔기 때문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오미크론 출현에 따른 재확산을 앞두고 모든 옵션을 검토하고 있다. 병원이 몰려드는 환자를 감당할 수 있도록 인력·물자·장비 등 충분한 자원을 갖추도록 하는 게 최우선이다. 확진자와 입원 환자가 급증하는 지역에 연방정부의 공중보건 대응팀을 파견했다.
베세라 장관은 또 “오미크론이 몰고 올 여파가 어떤 것이냐에 따라 연방정부가 코로나19 대응 예산으로 100억 달러(약 11조9000억원) 이상을 필요로 할 수 있다”며 이를 의회에 요청할 수 있다고도 말했다.
CNN은 바이든 정부가 코로나19의 재확산에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공중보건의 이슈를 넘어 정치의 문제까지 확장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을 종결하고 경제를 정상화하는 게 각종 정치적 악재에 대한 처방이라고 강조해 왔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